|
앞서 강호동은 2018년 6월 이 빌딩을 70억원 대출을 끼고 141억원(3.3㎡당 2억 4000만원)에 사들였다. 이 빌딩 매입 당시 가로수길이 유동인구가 크게 늘고, 다양한 가게들이 입점하면서 몇 년 사이 부동산 가격이 상승했다.
강호동은 단순 계산으로 6년 만에 시세 차익 25억원을 거뒀다. 다만 취등록세와 양도소득세 등을 고려하면 사실상 본전도 못 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호동은 취득세로 6억4800만원, 양도소득세로 10억원을 각각 냈을 것으로 추산된다.
업계에서는 강남 중심 상권이 가로수길에서 압구정로데오로 넘어가면서 강호동이 피해를 봤다는 분석이 나왔다. 강호동의 건물은 가로수길 중심부에 있다.
이유라 원빌딩중개법인 이사는 “2018년엔 뭘 사도 두배씩 올랐던 시기다. 그런데 이렇게 시세차익을 못 봤다는 건 기회비용 대비 손해를 봤다고 볼 수 있다. 다른 곳에 투자했다면 훨씬 더 많이 벌었을 것”이라고 한 매체를 통해 밝혔다.
그는 “이 건물은 젠트리피케이션 영향을 세게 받았다. 가로수길 중간부는 다 죽었다고 봐도 된다. 압구정로데오, 성수동 등 더 강한 상권이 생기면서 임대 수요를 뺏겼다. 건물주들이 전혀 대응을 못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이사는 높은 공실률에도 가로수길 임대료는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건물주 대부분 2000년대 초반 건물을 싸게 매입한 분들이다. 팝업스토어로 단기 임대만 해도 1년 치 임대료를 받을 수 있다 보니, 임대료 수준을 유지했고 그 결과 상권이 죽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 사이 압구정 로데오는 착한 건물주 운동 같은 캠페인을 진행했고, 코로나 팬데믹을 기점으로 분위기가 바뀌었다”며 “임대인 입장에서는 비싼 돈을 주고 가로수길에 남아있을 필요가 없다”고 했다.
이 이사는 “가로수길 상권이 다시 살아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상권 주기는 보통 30년으로 본다. 압구정 로데오로 넘어간 흐름을 바꾸는 건 쉽지 않다. 멀리 봐야 할 것 같다. 주변에서는 이 시기 강호동 건물이 팔린 것을 신기해한다. 강호동 입장에서는 적절한 시기에 잘 팔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