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 외에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의 연속성 보장’과 ‘불가항력의 의료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가 높은 비율을 보였다고 대전협은 전했다.
답변으로 ‘전공의 수련을 재개할 생각 없음’을 선택한 응답자도 있었는데, 대전협은 이들의 비중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다만 이중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신경과·신경외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 등 정부지정 필수 과목 전공의들이 72.1%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향후 비대위가 정부에 요구해야 할 우선순위를 묻는 문항에서도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료개혁 실행방안의 재검토’가 1위로 꼽혔다. 2위는 ‘군 입대한 전공의 및 입영대기 상태의 전공의에 대한 수련의 연속성 보장’이었고 ‘불가항력의 의료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등이 뒤따랐다.
대전협 비대위는 이번 설문 결과 등을 토대로 정부와의 대화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날 취임한 김민석 국무총리는 현재 의료계와의 만남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