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 ‘이 포즈’ 세련됐어”…미국 Z세대서 왜 인기 끄나

이로원 기자I 2024.06.10 19:31:07

‘K-손가락 하트’ 美 인기 이유 분석한 WSJ
“Z세대, 이모티콘·밈 등 비언어적 의사소통 익숙”
“기성세대들도 손 하트 유행 따라잡으러 노력”

[이데일리 이로원 기자] 한국에서 탄생한 이른바 ‘손가락 하트’가 미국 Z세대 사이(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 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K-팝 스타를 통해 퍼진 다양한 하트 표시가 미국 젊은 세대의 우정을 나누는 세련된 손동작으로 자리 잡았다는 분석이다.

영화 ‘듄: 파트2‘로 내한한 배우 오스틴 버틀러(왼쪽부터)와 젠데이아, 티모시 샬라메. (사진=뉴스1)
9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Z세대가 애정을 표현하기 위해 몇 가지 새로운 손 모양을 사용하고 있다”며 여러 종류의 하트 손짓이 Z세대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18~27세 사이의 Z세대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제스처는 엄지와 검지를 겹쳐 만든 작은 ‘손가락 하트’다.

이외에도 엄지를 볼 아랫부분에 대고 네 손가락을 구부려 광대뼈 위에 놓는 ‘볼 하트’, 검지를 구부려 아치를 만든 뒤 중지가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하트, 일반적인 방식으로 하트를 만든 뒤 검지만 더 구부려 귀를 만드는 ‘고양이 하트’ 등 다양한 하트 표시가 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WSJ은 이 하트가 한국에서 시작했으며, 그룹 BTS나 뉴진스 등 K팝 가수를 통해 미국으로 퍼졌다고 분석했다. 실제 BTS 멤버들은 2022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사진 촬영에도 손가락 하트를 취하기도 했다.

유행이 퍼지면서 한국을 찾은 팝스타나 할리우드 배우들이 새로운 하트를 하는 모습도 수차례 포착되기도 했다. Z세대 사이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배우 티모시 샬라메와 젠데이아는 올해 초 진행된 ‘듄2′ 한국 행사에서 볼하트를 선보였다.

WSJ은 “손하트(handhearts) 등의 해시태그가 포함된 게시물 수가 지난 1년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2022년 6월1일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 아시아인 혐오 범죄에 대한 대응을 논의하기 위해 초청된 방탄소년단(BTS)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커뮤니케이션학 교수 마크 빌은 Z세대가 이모티콘이나 밈 등을 통해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하는 데 익숙하기 때문에 새로운 손 모양을 만들어낸 것이라고 분석했다.

미국의 기성세대도 손 하트 유행을 따라잡으려 노력하고 있다. 시애틀에 거주하는 킴 첸(56)은 Z세대 딸이 셀카를 찍을 때 취하는 포즈를 흉내 내려고 엄지손가락을 집게손가락에 대고 작은 하트를 만들었다. 그는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매번 모양을 제대로 맞추지 못했다”며 “딸의 기대에 부응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대학 연구원인 브랜든 행크스(42)는 “마스터 하기가 정말 어려웠는데 최근에야 완벽히 해낼 수 있었다”며 “스스로가 자랑스럽다”고 했다. 직장인 에드 빅토리(37)도 “Z세대의 하트는 종이접기 같다. 해내기가 정말 어렵다”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