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강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운동시간이 없다’, ‘방이 좁다’ 감옥에서조차 윤석열의 특권의식은 끝을 모른다”며 “오늘은 또 어떤 투덜거림이 나올지 모를 일”이라고 운을 뗐다.
|
또 강 의원은 “감지덕지하고 자중해도 모자랄 판에, 가뜩이나 더운데 열불나는 말만 흘러나오고 있다”며 “윤석열은 도대체 언제까지 국민을 모욕하고, 특권을 누리려고 하는 건가. 왜 본인이 구치소에 있는지 전혀 인식을 못하고 있다”고 분노했다.
강 의원은 윤 전 대통령과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와 비교하기도 했다. 그는 “얼마 전 면회를 가서 본 조국 대표의 모습과 달라도 너무 다르다. 공부하고 성찰하고 되돌아 보고 그리고 다른 재소자분들과 똑같이 오히려 그분들을 배려하려는 모습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라고 칭찬했다.
그러면서 다시 윤 전 대통령을 향해 “당신은 불편함을 호소할 것이 아니라, 국민 앞에 고개를 숙이는 것이 먼저”라며 “당신으로 인해 망가졌던 대한민국, 당신과 정치검찰로 인해 희생된 분들에 대한 반성이 먼저다”라고 꼬집었다.
끝으로 강 의원은 “감옥은 특권의 공간이 아니라 반성의 공간이다. 조용히 죗값을 치르고 역사 속으로 사라질 준비나 하라. 그것이 시대의 요구이고 국민의 요구다. 아참, 오늘 특검 조사부터 꼭 받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 변론을 맡은 김계리 변호사는 지난 11일 “대통령께서 현금을 들고다니실리 만무하기에 돈 한 푼 없이 들어가셔서 아무것도 못 사고 계셨고 어제까지는 정식 수용번호가 부여되지 않아 영치금 입금이 안 된다고 전해들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지난 12일에는 서울구치소 측이 윤 전 대통령에게 운동 시간을 주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에 법무부는 전날 보도자료를 통해 “수용자의 실외 운동은 일과 중 1시간 이내로 실시하고 있다”는 규정이 일반 수용자와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말했다. 다만 다른 수용자와의 접촉 차단을 위해 단독으로 실시하고 있다고 했다.
영치금에 대해서도 “개인당 400만원을 한도로 규정하고 있으며, 이를 초과하는 경우 해당 기관의 거래 은행에 수용자 개인 명의로 통장을 개설, 입금·보관하고 석방할 때 이를 지급하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