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만 코카콜라 생산에 필요한 대량의 케인 설탕을 어떻게 조달할 것인지, 기존 제품을 완전히 대체하는 것인지 보완하는 수준인지 등 구체적인 계획은 밝히지 않았다. 대량 생산된 HFCS를 사용하던 코카콜라가 케인 설탕으로 레시피를 바꿀 경우 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코카콜라는 일부 해외 시장에서 케인 설탕을 사용하고 있지만, 1980년대부터 미국 시장에서는 주로 고과당 옥수수 시럽(HFCS)을 사용해왔다.
코카콜라에 HFCS 대신 케인 설탕을 사용하는 문제는 ‘미국을 다시 건강하게(Make America Healthy Again)’ 정책 기조와 관련이 있다. 로버트 케네디 미 보건장관은 HFCS가 미국인들의 건강에 나쁜 영향을 끼친다며 규제를 추진하고 있다.
HFCS는 고도로 가공된 감미료로 비만과 당뇨 등 만성질환을 유발한다고 알려져있다. 미국의 옥수수 농가 보조금 정책 등으로 HFCS의 가격이 낮게 유지되면서 설탕을 대신해 탄산음료와 주스, 빵, 소스, 스낵 등 대부분의 가공식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됐다. HFCS는 짧은 시간 안에 단맛을 내는 반면 케인 설탕의 단맛은 오래 지속된다.
|
존 보드 옥수수정제협회 회장은 “HFCS를 설탕으로 대체하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미국 식품 제조업 일자리가 사라지고 농가 소득이 줄어들 것”이라고 반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