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상가 '텅텅'.. “코로나 때 보다 더 해” 문 닫는 사장님들

박지애 기자I 2024.06.18 15:13:08

KB상업용부동산 6월호 보고서 분석
올해 1분기 전국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7.3%
코로나 팬데믹시기 보다 높은 공실률

[이데일리 박지애 기자] 올해 들어 소규모 상가가 문을 닫는 비율이 코로나 팬데믹 기간보다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면서 서민들 체감경기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단 분석이다.
한 상가에 임대 안내판이 부착되어 있다.(사진=김태형 기자)
특히 소비는 점차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대부분 소비가 온라인 등 무점포 소매업이나 대형 쇼핑몰· 백화점 위주로 집중돼 있어, 소규모 상가를 찾는 발길은 더 줄어들고 있는 모습이다.

18일 KB경영연구소가 이달 발간한 2024년 상반기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 리뷰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7.3%를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 팬데믹 영향을 본격적으로 받기 시작한 2020년 1분기 소규모 상가 공실률인 5.6%, 2022년 1분기 6.4%보다도 높은 수치다.

보고서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소매판매액지수가 백화점과 무점포소매업 중심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대형마트·슈퍼마켓·편의점·전문소매업은 올해 들어 하락세를 보이면서 업종 간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소규모 상가의 경우 투자 수익률로만 봐도 최근 다소 반등세를 보이긴 하지만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였다고 판단하긴 이르다는 평가다.

보고서는 “소규모 상가의 공실률 증가와 임대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2022년 이후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으로 크게 하락했던 투자수익률이 최근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2022년 이전인 과거 대비 낮은 상황으로 투자 수요가 회복됐다고 보기에는 이르다”고 분석했다.

2022년 1분기 1.47%를 기록한 소규모 상가 투자 수익률은 지난해 1분기 0.58%로 급감했고, 올해 1분기 0.96%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코로나 이전 상황으로 회복되지 않은 상황이다.

서울을 포함해 전국적으로 소규모 상가는 평균 공실률이 높아지는 가운데 지역 간 양극화 현상도 심화되고 있다.

전국 평균 공실률이 7%인 상황에서 세종은 17%, 대전은 20%를 웃돌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 상업용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일부 지역의 경우 경기가 워낙 안좋아 임대료 소폭 하락했다고 하지만 상권이 악화 된 상황에 비해 여전히 비싼 임대료를 받고 있다”며 “투자 수익률도 코로나 이전으로 회복되지 않아 팔리지도 않는 상황에서 건물주들은 비싸진 이자 때문에 쉽게 임대료를 내리지도 못하며 악순환의 고리에 빠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