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공의, 20일까지 복귀해야 하는 이유는

이지현 기자I 2024.05.17 16:55:57

내년도 전문의 자격 취득 위해 3개월 내 복귀 必
이탈 시작일 19일 이라면 3개월 되는 날 20일
휴가, 병가 등 사유 소명되면 추가수련기간 조정

[이데일리 이지현 기자] 보건복지부는 올해 4년차(3년제 과목은 3년차) 레지던트의 경우 2025년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수련병원을 이탈한 지 3개월이 되는 20일까지 복귀해야 한다고 17일 밝혔다.

[이데일리 방인권 기자] 서울 한 병원 전공의 전용공간에서 의료진 등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전공의는 수련기간 중 공백이 발생하면, ‘전문의의 수련 및 자격 인정 등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에 따라 추가 수련을 해야 한다. 전문의 수련 규정 및 시행규칙에서는 휴가, 휴직 등 부득이한 사유로 수련 받지 못한 기간은 해당 기간에서 1개월을 공제한 기간, 징계의 사유로 수련 받지 못한 기간의 경우 해당 기간 전체를 추가 수련 받도록 하고 있다.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려는 해의 5월 31일까지 추가수련을 마쳐야 전문의 자격취득이 가능하다.

정부에 따르면 전공의의 정당한 사유 없는 근무지 이탈은 부득이한 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집단행동 차원으로 지난 2월 19일부터 현장을 이탈한 전공의는 5월 20일까지 복귀하지 않을 경우, 2025년 5월 31일까지 추가 수련을 마칠 수 없어 2025년에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없게 된다. 단 복귀 시한은 개인별 이탈 시점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전공의가 휴가, 휴직, 병가 등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 관련 서류 제출 등을 통해 수련병원에 반드시 소명해야 한다. 사유가 인정되면 전문의 수련규정에 따른 추가 수련 기간이 일부 조정될 수 있다.

전병왕 보건의료정책실장은 “현장 이탈이 지속되면 전공의의 개인적 경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속히 환자들이 기다리는 의료현장으로 복귀해 달라”고 말했다.

의대증원 현실화

- [속보]오늘부터 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강원대병원,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 “국민도 의사도 희망 없다” 의대 증원 반발 의사들, 촛불 들었다 - 의대 선발 3113명→4610명…지역인재전형 ‘충청권’ 부상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