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통신은 11개 브릭스 회원국이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특별 행사장에서 열린 17차 정상회의에서 공동 선언문을 발표했다고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브릭스 정상들은 사전에 합의된 선언문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완전한 감시에 있는 이란의 ‘평화적 핵 시설에 대한 군사 공격’을 규탄하고 ‘무차별적으로 인상한 관세 부과’에 따른 글로벌 교역 질서 교란을 비판했다. 이스라엘의 공격을 받는 가자지구 팔레스타인 주민에겐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중국과 러시아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 브릭스는 사실상 반서방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이번 선언문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정책을 비판한 것이다. 다만 선언문에 트럼프를 적시하진 않았다.
브릭스는 신개발은행(NDB) 내 자금 조달 비용을 인하하고 투자 촉진을 위한 보증 이니셔티브 시범 운영 계획을 전폭 지지하기로 했다. NDB는 브릭스판 세계은행(WB)으로 불리는 조직으로 이를 활용해 미국 주도 달러화 의존도를 낮추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번 브릭스 정상회의는 6~7일 이틀간 열린다. 브릭스는 기존 5개 회원국 체제를 장기간 유지하다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이집트·에티오피아·이란·사우디아라비아·아랍에미리트·인도네시아를 새로운 회원국을 받아 11개국 체제로 규모가 확대됐다.
다만 이번 브릭스 정상회의는 브릭스 주축인 중국의 시 주석이 불참했다. 표면적인 이유는 일정이 겹친다는 것인데 시 주석이 브릭스 정상회의에 불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배경에 관심이 쏠렸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 주석 대신 참석한 리창 국무원 총리는 “서로 깊이 얽혀 있는 공동의 이해관계에 직면해 연대와 협력을 통해 더욱 협력해야 한다”며 “상호 이익이 되는 발전 기회에서 우리는 상호 성취의 정신을 더 잘 공유해야 한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전쟁 범죄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로부터 체포 대상인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정상회의에 불참했다. 브라질은 ICC 가입국이어서 푸틴 대통령 방문 시 체포가 될 수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화상 연설을 통해 “자유주의적 세계화 모델은 낡았고 다양한 분야에서 브릭스 회원국이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신흥 시장들이 교역에서 각자 자국 통화 사용을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내년 브릭스 정상회의는 인도에서 열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