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나 지금 떨고 있니?'..테이퍼링 쇼크에 가시방석 앉은 8개국

성문재 기자I 2014.01.16 15:27:15

경상적자 5개국에 외부자금 高의존 3개국 추가
1~2년 뒤 곳간 바닥.."부채기업·금융권까지 영향"

[이데일리 성문재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테이퍼링(자산 매입 축소)으로 떨고 있는 국가가 당초 예상보다 많은 8개국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 8개국 대부분은 연준의 ‘돈 줄 죄기’에 따른 자금 유출로 2년도 못 버티는 것으로 분석됐다.

1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영국 자산운용사 슈로더와 함께 국가별 단기외채와 경상수지적자 합계(총외부자금조달요구액·GEFR) 대비 외환보유액 비율을 분석한 결과 터키, 칠레, 인도네시아,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헝가리, 브라질, 폴란드 등 8개국이 테이퍼링에 취약한 나라로 지목됐다.

연준 출구전략 우려가 지난해 하반기 내내 전세계 금융시장을 들었다 놨다 하는 동안까지만 해도 인도, 인도네시아, 터키, 브라질, 남아공 등 경상적자에 시달리고 있는 5개 나라가 주요 관심 대상이었다. 그러나 여기에 외부자금조달 의존도까지 감안하자 헝가리, 칠레, 폴란드 등 3개국이 추가됐다.

이들 8개국은 테이퍼링 축소로 자금 엑소더스(유출)가 일어나 현재 가지고 있는 외환보유고로 단기외채와 경상적자를 메운다고 가정할 때 터키는 1년도 못 버티고 그나마 상황이 가장 나은 브라질과 폴란드도 만 2년 이상 유지하기 어렵다.

크레이그 보덤 슈로더 신흥시장 이코노미스트는 “시장의 초점은 외부자금 의존도가 높은 국가, 특히 단기부채 상환 부담이 큰 나라로 이동하고 있다”며 “자금유입이 중단되거나 유출되는 등 ‘갑작스러운 정지’에 대한 우려가 이를 뒷받침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이 경우 부채가 많은 기업들이 엄청난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은행권에도 도미노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FT는 이들 8개국 외에도 우크라이나,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역시 테이퍼링에 취약하다고 지적했다. 이들 국가 신용등급이 최저 수준인데다 국내 정치 및 경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다.

신흥국 테이퍼링(tapering) 감내 지수 (단위=年)

총외부자금조달요구액(GEFRㆍ단기외채와 경상적자 총합) 대비 외환보유액 배율(2013년 2분기 기준) 출처: FT


美 테이퍼링 시행

- "급격한 테이퍼링, 신흥국엔 치명적" WB·IMF 입모아 경고 - 피셔 "연준 테이퍼링 규모, 200억달러 주장했었다" - [투자의맥]테이퍼링 큰 충격 없어..긍정적 효과 기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