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동해 가스전개발 ‘국익 극대화 원칙하’에 투자유치”

강신우 기자I 2024.06.21 14:00:00

첫 동해심해가스전개발전략회의
‘조광료 부과요율’ 조정 등 논의
첫 동해심해가스전개발전략회의
“석유공사 심해개발 경험 부족…
국내외 기업 투자 반드시 필요”

[세종=이데일리 강신우 기자] 정부와 한국석유공사가 동해 심해가스전 개발과 투자유치를 위한 논의를 본격화했다.

이르면 연말께 1차공 시추작업에 나서게 되는데, 이미 글로벌 메이저 석유기업인 엑손모빌을 포함한 5개 해외업체가 관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한국석유공사)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서울 석탄회관에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전략 회의’를 열고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추진 현황과 시추 계획, 제도 개선, 투자유치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

먼저 1차공 시추위치는 탐사자료를 분석한 업체인 미국 액트지오사(社)이 자문을 받아 석유공사와 산업부가 적정한 검토 절차를 거쳐 구체적인 위치를 확정한다.

작업 위치는 동해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8광구와 6-1광구 일대(영일만에서 38~100km 거리·심해 1km 이상)로 시추공을 최소 5개 이상 뚫는다. 개당 1000억원의 비용과 3개월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유망구조가 7개인 만큼 투입 예산이 불어날 수 있다.

안 장관은 투자유치와 관련해 “석유공사는 심해 개발·운영 경험이 부족하고, 시추 1공당 1000억원 이상 소요되기 때문에 개발과 운영에 필요한 기술력·재원 확보 및 위험 분산 차원에서 국내외 기업의 투자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정부는 국익 극대화라는 원칙하에 국내외 투자유치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했다.

조광제도 개선은 현행 해저광물자원개발법은 대규모 유전·가스전 개발에 적합하지 않은 체계로서 제도 정비가 필요한 상황이며 향후 조광권을 유망구조의 시추탐사와 개발에 적합한 방식으로 분할하고, 조광료 부과 요율도 정부와 투자자간 적정 수익 분배가 가능하도록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원유와 천연가스 전량을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 상황을 감안할 때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 사업의 성공적 추진은 국가 자원안보 차원에서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했다.

안 장관은 “동해 심해 가스전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높은 만큼, 이제는 모두의 지혜를 모아야 할 시점이라며 정부는 앞으로 각계와 적극 소통하면서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을 차질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동해 석유·가스전

- 동해유전 “글로벌기업 5곳 ‘관심’”…“곧 로드쇼”(종합) - [속보]석유공사 사장 “글로벌 메이저 기업들 동해투자 의사 밝혀” - [특징주]한국가스공사, 동해가스전 전략회의 앞두고 52주 신고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