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통화정책] 가계부채 DB확충..정부·금융당국과 총량 관리

이민정 기자I 2015.12.24 11:31:21
[이데일리 이민정 기자] 한국은행은 내년 가계부채 등 금융시스템의 잠재불안요인을 완화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24일 의결한 `2016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을 보면 한국은행은 내년 가계부채 데이터 베이스 확충 및 이를 이용한 미시통계 작성을 통해 가계부채 현황을 다각도로 분석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정부 및 감독당국과 함께 가계부채의 총량 증가가 과도해지지 않도록 노력하는 한편 가계부채 증가가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민간소비 등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면밀히 점검할 계획이다.

또한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 지속 등으로 국내외 충격이 발생할 경우에 대비하여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종합 점검체계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안정보고서 및 거시 금융안정 상황 점검회의를 통해 잠재위험 요인에 대한 조기경보 및 대외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할 계획이다. 신용시장, 자산시장, 그림자 금융 등에서의 시스템 리스크 축적 상황을 상시 점검할 방침이다.

금융안정 관련 국제기준의 원활한 국내 도입·이행을 지원하는 한편 지급결제리스크 관리 강화 및 인프라 개선을 도모할 계획이다.

이밖에 글로벌 금융규제 제·개정을 위한 국제적 논의에 적극 참여하고 금융당국 등과 협력해 이 규제가 국내에서 효과적으로 운용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 인터넷전문은행 출범에 따른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이와 관련한 은행업 및 금융시장에 대한 영향을 심도있게 연구한다는 방침이다.

가계부채 대책-여신심사 선진화

- 가계부채 비율 169.8%로 상승… 연말에 172% 예상 - [표][금융안정보고서]주요국의 가계부채 비율 분포 - [데스크칼럼]면피성 가계부채대책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