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현장에서]홈플러스의 상생전략..진정성은 없었다

장영은 기자I 2012.11.21 14:02:30

앞에선 상생과 대화 강조하고 뒤에선 신규점포 출점?

[이데일리 장영은 기자] 중국 춘추 전국 시대 제나라 영공(靈公)은 궁중 여인들에게 남장을 시키는 취미가 있었다. 어떻게 소문이 났는지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도 남장 여인이 날로 늘어났다. 영공은 궁 밖에서는 이를 금지토록 했다. 하지만 효과는 없었다. 왕은 자기가 좋은대로 하면서 백성들에게만 이를 금지하니 그 영(令)이 설 리가 없었던 것. 고사성어 ‘양두구육(羊頭狗肉,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의 유래다.

최근 유통업계에서도 ‘양두구육’의 행태를 보이는 업체가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밖으로는 대형마트와 중소상공인 간의 상생을 강조하면서 안으로는 신규 출점에 열을 올리고 있는 홈플러스 이야기다.

지난달 22일 홈플러스는 다른 대형마트들과 함께 중소유통업 단체들을 만나 신규 점포 출점을 자제하고 월 2회 자율 휴무를 실시하겠다는 원칙에 합의했다.

하지만 홈플러스는 합의 당일과 바로 다음달 각각 경기도 오산시(오산 세교점)와 서울 관악구(남현점)에 대형마트 개설 등록 신청을 했다. 지난 7일에는 경북 경주시 충효동에 신규 점포 건축 허가 신청을 낸 사실도 밝혀졌다. 지역 상인들과의 마찰로 문을 열지 못하고 있는 합정점에 대해서는 영업 개시가 불가피하다는 공문을 발송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홈플러스의 ‘이중 플레이’에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앞에서는 상생을 강조해놓고 같은 시간 뒤에서는 잇속을 챙기려 한 홈플러스의 행동이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분위기다. 일각에서는 이번 사태로 대형마트 전반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번질까 우려하고 있다.

이승한 홈플러스 회장은 유통산업발전협의회 1차 회의 후 “이번 회의의 가장 큰 성과는 모든 안건을 (협의)테이블 위에 올려 놓고 투명하게 이야기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그 테이블에 정작 홈플러스의 신규 출점은 올려놓지 않았다.

홈플러스는 일련의 사태로 논란이 불거지자, 문제가 되고 있는 점포에 대해 유통산업발전협의회의 합의를 거쳐 출점을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향후 합의 과정은 순탄치 않을 듯 싶다. 이미 진정성이 훼손된 홈플러스와 이승한 회장의 손을 다시 잡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진병호 상인연합회 회장은 “홈플러스가 협의회에서 출점 자제에 대한 약속을 어기고 잇따라 새 점포를 낸 것에 대한 실망이 크다”며 “진정성 없는 상대를 어떻게 믿고 대화에 참여하겠냐”고 말했다. 그는 “홈플러스가 뒤늦게 협의체에서 출점 논의를 하겠다는 것도 명분 쌓기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 회장이 유통산업발전협의 과정에서 강조한 ‘진정성’과 ‘투명성’. 현실의 홈플러스와는 온도차가 크다. 진정성은 내세운다고 생기는 것이 아니다. 홈플러스의 상생전략을 보며 ‘양두구육’의 고사성어가 떠오른 이유다.

대형마트 `쩐의 戰爭`

- 롯데마트 “올해 유통 키워드는 RED” - 롯데마트 "겨울 의류 세일 앞당겼어요" - 대형마트에 겨눈 칼.. `피해는 中企·농어민'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