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에서 질병 또는 장애를 가진 기간을 제외한 수명이다. 즉,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특별한 이상 없이 원활히 생활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기대수명이 건강에 대한 정량적인 지표라면, 건강수명은 질적인 측면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인의 건강수명은 기대수명의 증가세에 힘입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건강수명은 2008년 68.89세에서 2020년 71.82세로 2.93년 늘었다. 성별로 보면 2020년 기준 여성의 건강수명은 73.98세로 남성(69.43세)에 비해 4.55년 길었다. 남녀 격차는 2008년 4.53세에서 감소 추세를 보이며 2019년 4.10년까지 떨어졌다가 1년 만에 다시 12년 전 수준으로 반등했다.
무엇보다 소득 수준에 따른 건강수명 차이가 두드러졌다. 건강보험료 부과액에 따라 소득을 5개 분위로 나눠 비교·분석한 결과, 최상위인 5분위(상위 20% 소득층)의 건강수명은 74.88세로 최하위인 1분위(하위 20% 소득층)의 66.22세와 비교해 8.66년 길었다. 차순위 최고소득층인 4분위는 73.58세로 건강수명 역시 5분위의 뒤를 이었고, 3분위와 2분위는 각각 73.15세, 72.12세였다.
연구진은 1분위의 건강수명이 다른 계층에 비해 크게 낮은 이유로 흡연과 고위험 음주, 신체활동 부족 등 다른 건강 위험 요소들의 유병률이 높다는 사실을 제시했다. 이어 1분위의 건강 수준을 향상시키는 게 소득 불평등을 줄이고 국가적으로도 건강수명을 개선할 수 있는 만큼, 저소득층을 집중 관리해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는 의료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
모든 소득분위에서 기대수명과 건강수명 간 차이는 감소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다만 1분위가 불건강하게 살아온 시간은 13.27년으로, 5분위(12.54년)와 비교해 0.73년 길었다.
연구진은 “코로나19의 장기적인 영향이 아직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기에 현상에 따른 결과는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신중하게 해석돼야 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