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푸틴, 북한서 탄약 조달… 우크라戰 장기화 준비"

방성훈 기자I 2023.09.14 09:03:47

닛케이 "북러 정상회담은 전쟁 장기화 포석
러 "탄약 증산해도 부족한 상황, 北서 조달 유력"
징병 대상·예비군 연령 상한 법 개정도 진행

[이데일리 방성훈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정상회담을 계기로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를 대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정은(왼쪽)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3일 러시아 보스토치니 우주기지에서 만나 인사하고 있다. (사진=AFP)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은 14일 “푸틴 대통령이 북한으로부터 무기와 탄약을 공급받기로 관측되는 가운데 병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법 개정도 진행하고 있다”면서 “우크라이나 침공 장기화를 시야에 두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신문은 북러 정상회담에서 공식 성명이나 무기거래와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지만, 푸틴 대통령은 김 위원장에게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쓸 무기와 탄약을 요청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예상했다.

로이터통신이 미 정부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러시아가 지난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소비한 탄약은 1000만~1100만발로 추정된다. 이 당국자는 러시아가 탄약 생산량을 연간 200만발까지 증산할 가능성이 있지만, 부족분을 채우기엔 턱없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의 탄약 지원은 러시아에 숨통을 틔워줄 전망이다. 앞서 제이크 설리번 미국 백악관 안보보좌관도 지난 5일 “러시아가 자체적인 탄약 공급이 어려워져 조달할 곳을 찾고 있다”며 북한과의 군사협력 가능성을 경계한 바 있다.

푸틴 대통령은 또 예비군과 징병 대상 연령 상한을 높이는 법 개정도 추진하고 있다. 개정안에 따르면 예비군 연령 상한은 5세, 징병 대상 연령 상한은 3세 각각 높아지며, 내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이는 지난 6월 말 무장반란을 일으킨 민간용병 그룹 바그너그룹의 빈 자리가 적지 않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바그너그룹은 우크라이나 동부 도시 바흐무트를 점령하는 데 큰 역할을 하는 등 전장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했다. 러시아 정부는 바그너그룹을 해체하는 한편 보유하고 있던 무기와 병력을 흡수하는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닛케이는 “김 위원장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정의를 위한 성스러운 위업’이라고 규정했기 때문에 러시아를 전면 지지할 가능성이 크다”며 “북러 군사협력이 어느 정도 규모로, 언제까지 진행될 것인지에 따라 우크라이나 전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러 정상회담

- 북한 “푸틴 방북초청 수락”…美 “북러 무기거래 심각 우려”(종합) - 푸틴 "유엔 틀 안 깬다"…北과 위험한 거래 노골화 - “북·러 전략 전술 협력 강화키로”…김정은, 푸틴 방북 초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