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車튜닝산업 현주소]③업계 희망사항 "'무조건 불법' 오해 벗었으면…"

김형욱 기자I 2016.09.15 07:00:20

"규제보다 부정적 시각 해소가 더 시급"

[이데일리 김형욱 신정은 기자] “‘튜닝은 무조건 불법’이라는 대중의 오해에서 벗어났으면 좋겠어요.”

지난달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자동차 튜닝 전시회 ‘2016 서울오토살롱’. 이곳에서 만난 업체 관계자 대부분은 튜닝 산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튜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규제도 규제지만 부정적 인식 탓에 건강한 업체나 고객까지 도매금으로 눈총을 받는다는 하소연이다.

업계는 또 이런 인식 변화를 위해 자동차 경주대회(레이싱)나 서킷 체험문화, 튜닝 쇼를 활성화하는 노력도 병행했으면 좋겠다고 제언했다.

정부는 2013년 5000억원 규모인 국내 튜닝시장을 2017년 2조7000억원, 2020년 4조원까지 늘리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2012년 기준 전 세계 튜닝시장 규모는 약 1000조원으로 미국(35조원), 독일(23조원), 일본(14조원)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 튜닝업체 시공 모습.
미디어에서 경찰의 불법 폭주 단속과 그에 따른 부정적 뉴스만 다뤄지는 탓에 튜닝업계와 소비자가 마치 불법의 온상처럼 비친다는 게 업계의 가장 큰 불만이다. 아마추어 레이싱 팀을 운영하는 A 튜닝사 관계자는 “불법 폭주는 불법 폭주이고, 레이싱은 포뮬러원(F1) 같은 멋진 스포츠란 걸 구분했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이재우 쉐보레 레이싱팀 감독 겸 선수도 “실제 레이서는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알기에 일반 도로에서 폭주하는 일은 없다”며 “일반 운전자에게 레이싱 교육은 오히려 응급·돌발상황 대처 능력을 높여 준다”고 말했다.

무작정 단속하기보다는 튜닝을 즐기는 이들이 놀 곳을 마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많았다. B 튜닝사 관계자는 “정부가 규제를 푸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정부와 지자체, 대기업들이 나서 자동차 문화, 모터스포츠를 활성화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국내에도 최근 5년 새 전남 영암 F1 서킷, 강원도 인제스피디움 같은 자동차 경주장(서킷)이 들어섰으나 최대 수요처인 수도권과는 거리가 있다. 또 슈퍼레이스나 코리아 스피드 페스티벌(KSF) 같은 국내 자동차 경주대회도 제대로 홍보가 안 돼 ‘그들만의 리그’에 안주하고 있다.

레이싱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에도 레이싱에 대한 관심이 없는 게 아니라 놀 장소가 없는 것일 뿐”이라며 “지난 2011~2013년 전남 영암 서킷에서 포뮬러원(F1)이 열렸을 땐 비싼 티켓비용에도 구름 같은 관중이 몰렸던 만큼 인프라만 생기면 잠재력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한국자동차튜닝협회 관계자는 “전체 매출에서 1%도 홍보에 쓰지 않는 튜닝회사도 인식 전환이 필요할 때”라며 “무조건 불법이란 인식을 바꾸는 게 튜닝산업 활성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2010년 전남 영암 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에서 열린 포뮬러원(F1) 코리아 그랑프리 경기 모습.
국내 자동차 경주대회 슈퍼레이스 모습. 10여 팀, 50여 선수가 매년 시즌 치열하게 경쟁하지만 미국·일본·독일 등 자동차 선진국과 비교하면 팬층이 두텁지 않아 팀마다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한민국 車튜닝산업 현주소

- [車튜닝산업 현주소]④車관리용품·IT기기 시장은 '호황' - [車튜닝산업 현주소]②완화한다던 튜닝 규제, '체감 규제'는 오히려 늘었다 - [車튜닝산업 현주소]①‘뛰어들자니 부담, 가만있자니 지지부진’ 현대차 튜닝 딜레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