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전자제품 관세 면제 아니다”…트럼프 직접 설명 나서

김윤지 기자I 2025.04.14 06:27:33

트럼프, 전자제품 관세 부과 재확인
“반도체 공급망 조사 이후 부과” 해명
상무장관 “반도체 관세, 1~2개월 안에”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서 제외된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 품목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밤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의 카세야 센터를 찾아 UFC 챔피언십 경기를 관람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FP)
그는 13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을 통해 “지난 금요일(4월 11일)에 발표한 것은 관세 예외가 아니”라면서 “이들 제품은 기존 20% 펜타닐 관세를 적용받고 있으며 단지 다른 관세 범주로 옮기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우리는 곧 국가 안보 관세 조사를 통해 반도체와 전자제품 공급망 전체를 살펴볼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관세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다른 나라들이 우리에게 불리하게 사용해 온 불공정한 무역 수지와 비(非)통화 관세 장벽와 관련해 그 누구도 관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면서 “특히 우리를 가장 나쁘게 대우한 중국은 더욱 그렇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다른 나라들이)수십 년 동안 그랬던 것처럼 무역에서 우리를 계속 학대하도록 내버려둘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리는 제품을 미국에서 만들어야 하며 우리는 다른 나라에 인질로 잡히지 않을 것”이라면서 “특히 중국같은 적대적인 교역국은 미국민을 무시하기 위해 가진 모든 권력을 이용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역시 ABC 방송과 인터뷰에서 전자제품 관세 면제는 일시적인 유예일 뿐이라면서 “반도체 등 전자제품은 한두 달 안에 부과될 가능성이 있는 반도체 (품목)관세의 적용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품목관세와 관련해 “이러한 제품들이 리쇼어링(미국으로의 생산시설 복귀) 될 수 있도록 초점을 맞출 것”이라면서 “우리는 반도체가 필요하고 이런 것들을 미국에서 만들어야 한다. 이 모든 것을 동남아시아에 의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관세 징수를 담당하는 미 관세국경보호청(CBP)은 지난 11일 밤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하면서 스마트폰부터 반도체 제조 장비까지 전자제품을 제외 대상에 포함했다. 이를 두고 전자제품에 대한 관세 면제가 이뤄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자 트럼프 행정부 당국자들은 상호관세와 품목관세가 중첩되지 않도록 상호관세에서 반도체를 제외한 것이라고 진화에 나섰다. 즉 반도체 등 전자제품은 향후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를 통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하게 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미국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트럼프 관세 전쟁

- 中 "美와 무역협상 가짜뉴스…대중 관세부터 해제하라" - 베트남산 스테인리스 냉간압연에 5년간 최대 18.81% 반덤핑관세 - 美, 4월 관세수입 한달새 60% 급증…트럼프 “관세 효과”(종합)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