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안대희 인사청문회 2대 관전포인트는

문영재 기자I 2014.05.27 07:27:28
[이데일리 문영재 정다슬 기자]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애초 예상을 깨고 상당히 뜨거워질 전망이다.

안 후보자 지명 시점에서는 그가 대검 중수부장 시절 한나라당(새누리당 전신)에 대한 ‘차떼기 대선자금’ 수사를 통해 ‘국민검사’로 명성을 얻은 점 등에 고려, 도덕성이나 청렴성 측면에서 크게 문제가 없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많았다.

실제 안 후보자는 지난 2003년 6월 대법관 후보자 청문회를 비교적 무난하게 통과했다. 그러나 총리후보자 지명 직후 불거진 변호사 수임료와 관련한 전관예우 논란, 국세청 산하 세무조사감독위원장 재직 때 기업의 법인세 취소소송 변론 등이 논란을 키우면서 청문회는 험난한 ‘관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안 후보자는 일단 26일 ‘국무총리 임명동의안 제출에 즈음한 입장‘ 발표의 형식을 통해 전관예우 논란을 사과하고 대법관 퇴임 이후 변호사 활동으로 늘어난 11억원을 전액 환원하겠다고 밝혔다.

청문회에서 제기될 공세를 사전에 차단하려는 모습이었다. 안 후보자는 환원 배경에 대해 “총리가 된다면 사회 기강을 확립하고, 부정부패를 척결하는데 앞장서겠다고 한 국민과의 약속을 실천하는데 저의 소득이 결코 장애가 돼서는 안 되기 때문”이라며 “저의 이런 결심을 믿고 지켜봐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발표를 마친 후 2차례 고개를 숙인 안 후보자 취재진이 재산의 사회 환원 방식을 묻자 “다 내놓겠다”며 구체적인 답을 하지 않았다.

또, 지난해 국세청 세무조사감독위원장으로 위촉된 이후 나이스홀딩스의 법인세 취소소송 변론을 맡은 것이 부적절한 게 아니냐는 질문에는 “전혀 어긋난 일이 없는 활동”이라며 “자세한 것은 청문회 때 말씀드리겠다”고 즉답을 피했다.

그러나 야당의 공세는 계속 이어질 조짐이다. 안 후보의 입장발표 직후 김기식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기자간담회에서 “안 후보자에게 제기된 문제는 전관예우 문제로서 과도하게 벌어들인 돈을 사회에 환원한다고 전관예우 검증을 피할 수는 없다”며 “더구나 11억원 사회환원은 총리 인준을 받기 위한 정치적 기부”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안 후보자 기부의 순수성에 대해서 이번 기부가 전관예우 논란에 면죄부를 줄 수 있을지를 국민 여러분이 판단할 것”이라며 “총리 후보자로서 안대희의 전관예우 논란을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날을 세웠다.

앞서 민병두 새정치연합 선거대책위 공보단장도 기자간담회에서 “안 후보자가 받은 일당 1000만원을 연봉으로 환산하면 38억4000만원인데 이는 재벌총수 연봉순위로 17∼19위에 해당한다”고 지적했다.

이명박 정부 때 감사원장 후보에 지명됐던 정동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은 2007년 11월 대검 차장에서 퇴직한 후 사흘 만에 법무법인에 들어가 이듬해 6월까지 7개월간 7억7000여만원을 받은 것이 문제가 돼 결국 낙마하기도 했다.

국무총리 안대희 내정

- 새누리 "野 '안대희 방지법' 망신주기 금도 넘어" - '11억 사회환원' 발표한 안대희..환원방법은 '묵묵부답' - 野, 안대희금지법法 발의…관피아 공직임용 금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