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부터 사흘간의 일정으로 진행한 ‘이데일리 글로벌 토큰증권(STO) 써밋’에 참여한 글로벌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전 세계적으로 STO가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됐다고 입을 모았다. 전문가들은 STO가 상장지수펀드(ETF)에 이어 ‘투자의 미래’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지난 2002년 처음 국내에 등장한 ETF는 당시 3400억원 규모에 그쳤지만 올해 110조원를 넘어설 정도로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이런 ETF의 뒤를 이를 투자처라고 하니 전세계적인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하다. 싱가포르를 비롯해 금융 선진국들은 발 빠르게 STO 관련 규제를 정하고 적극적으로 자금을 끌어모으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우리나라는 지난 2월 금융위원회가 ‘토큰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방안’을 발표하면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지만 이후 구체적인 움직임은 아직 없다. 7월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대표발의한 전자증권법과 자본시장법 개정안도 제대로 논의조차 안되는 상황이다.
STO 써밋에서 만난 국내 STO 산업 관계자들은 “STO 사업을 하면서 가장 힘든 것은 규제 때문이 아니라 역설적이게도 규제가 제대로 만들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토로했다. 규제에 맞춰서 사업을 진행하려해도 관련 규제가 없으니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증권사들 역시 금융당국의 입만 바라보고 있다. STO 발행이나 플랫폼 등 여러가지를 준비 중이지만 결국 이를 최종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관련 법안이 마련돼야 한다.
이미 국내에서도 STO에 대한 관심은 높다. 이번 글로벌 STO 써밋이 진행된 사흘간 300여 명이 행사장을 찾아 끊임없이 해외 연사들에게 묻고 서로 의견을 교환했다. 그만큼 현재 꽉 막힌 한국 STO 시장 상황에 대한 고민이 깊다는 얘기다. STO가 피할 수 없는 흐름이고, 우리도 이미 한 발을 뻗은 상황이라면 관계자들은 물론 궁극적으로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라도 다음 걸음에 빠르게 나서야 한다. 이제는 금융당국이 답할 차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