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ELS총량제 `과도`…일정부분 규제 필요 `공감대`

김재은 기자I 2020.06.23 00:13:00

[코로나19 크레딧전문가설문](中)
총량제 과도하나 일정부분 규제 필요 40.2%
신평사·연기금, ELS총량제 필요 응답 시장(18.3%)보다 크게 높아
소속기관별 증권 제외 모두 일정부분 규제 필요

자료:이데일리


이데일리는 15년간 진행해 온 신용평가전문가설문(SRE·Survey of credit Rating by Edaily)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설문조사를 지난 4일부터 10일까지 진행했다. 크게 △코로나19에 따른 시장 영향 △기업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 △정부의 금융시장 대책에 대한 평가 △앞으로 경기전망 및 하반기 투자포트폴리오로 나눠 진행했다. 상·중·하 세 번에 걸쳐 긴급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할 계획이다.<편집자 주>

[이데일리 김재은 기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글로벌 증시가 폭락하자 증권사들의 주가연계증권(ELS)발 마진콜(추가 증거금 납부)이 외환시장과 단기자금시장을 흔들었다. 다행히 글로벌 증시가 V자로 급반등하며 한숨 돌렸지만, 금융당국은 증권사들의 ELS를 통한 자금조달과 운용에 대해 건전화 방침을 표명한 상태다.

크레딧 전문가들은 증권사들에 대한 ELS 총량제 도입은 과도하다는 의견에 무게를 실으면서도 일정 부분 규제가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22일 이데일리가 진행한 코로나19 관련 크레딧 전문가설문 결과 164명의 유효응답자 중 66명(40.2%)이 `총량제는 과도하지만, ELS 발행과 관련해 일정 부분 규제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규제보다는 증권사 감독강화 등을 통해 증권사 자율규제를 유도해야 한다`는 응답이 31.1%(50명)로 뒤를 이었다.

현재 `증권사의 레버리지·유동성 위험 관리를 위해 총량제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18.3%(30명) 차지했다. ELS 총량제란 증권사별 자기자본에 따라 100~200% 등 일정비율로 ELS 발행규모를 제한하는 방안이다.

소속기관별로는 증권을 제외한 기관(은행 보험 운용사)에서 일정부분 규제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다만 연기금은 `ELS총량제가 필요하다`는 응답과 `일정부분 규제 필요` 응답이 각각 36.8%로 동일했다. 이는 신평사가 ELS총량제가 필요하다고 답한 비율(33.3%)보다도 다소 높은 수준이다.

반면 증권의 경우 22명(33%)이 `증권사 자율규제 유도`를 택해 `일정부분 규제 필요` 응답(21명·32%)을 간발의 차로 웃돌았다. 신용평가사는 일정부분 규제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47%(14명)로 가장 많았고, 뒤를 이어 ELS총량제가 필요하다는 견해도 33.3%(10명)로 시장(18.3%)에 비해 크게 높았다.

자료:이데일리
김필규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ELS는 중위험 중수익 상품이 아닌데, 증권사가 그렇게 마케팅해서 판매하는 측면이 크다”며 “금융당국으로선 공급을 줄여 소비자들의 피해를 줄이려는 의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증권사들이 ELS 발행으로 조달하는 자본은 전체의 25% 수준이고, 수수료도 평균 1%가량 된다. 원금비보장형 ELS의 경우 손실이 나는 확률은 10%로 결코 낮지 않다는 지적이다.

반면 증권사 측에선 ELS총량제 도입에 대해 “총량제 도입은 감독당국이 ELS 발행을 아예 하지 말라고 하는 것에 가깝다”며 “적절한 규제는 있어야 하지만 리스크 관리를 하게끔 유도하는 게 맞다”고 밝혔다. 증권사, 운용사는 ELS 총량제보다는 외화자산이나 자체헤지 비율 제한을 통해 증권사 유동성 위험을 관리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이와 관련 금융위원회는 ELS 총량제를 비롯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ELS를 통한 증권사의 자금조달·운용을 건전화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빠르면 내달 초 ELS 등을 비롯한 증권사 유동성 위험 관리를 위한 대책을 발표할 방침이다.

▶코로나19 크레딧 전문가 긴급설문조사는

연기금, 증권, 운용, 보험, 은행 등에 소속된 크레디트 애널리스트, 채권 매니저, 브로커, 투자은행(IB) 담당자 등 전문가 166명이 응답했고 이중 크레디트 업무 1년 미만인 2명을 제외한 유효응답자 164명의 설문 결과를 토대로 분석했다. 담당업무별로는 △크레디트 애널리스트 53명 △채권매니저 78명 △채권브로커 12명 △기타 21명입니다. 소속기관별로는 △증권 66명 △운용 48명 △연기금 공제 19명 △보험 18명 △은행 10명 △기타 3명입니다. 이와 별개로 국내 신용평가 3사에도 신용평가 업무와 이해상충이 없는 부분에 한해 설문을 진행해 30명의 유효응답을 받았다.

코로나19 크레딧전문가설문

- 하반기 포트폴리오는?…절반이 "현행 유지" - 10명 중 7명 "업종·기업별 금리 차별화…양극화 더 확대될 것" - 경기 `나이키형` 더딘 회복…"A급 축소 등 보수적 투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