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노동부는 이날 건설·조선·물류 등 폭염 고위험 사업장 현장점검에 착수했다. 전날 경북 구미의 공사현장에서 20대 이주노동자가 온열질환자로 목숨을 잃은 데 이어 추가적인 인명 피해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다.
이번 점검에선 ‘33℃ 이상’ 폭염 작업 시 매 2시간 이내에 20분 이상 휴식부여 등 ‘폭염 안전 5대 기본 수칙’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급박한 위험이 있는 경우 사업주 또는 노동자가 작업 중지를 적극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전력 수급 대란 우려가 제기되며 당국의 움직임도 빨라졌다. 전력 수요 급증으로 블랙아웃(대정전)이 오면 국민의 일상생활은 물론 산업현장에도 치명타를 미칠 것이란 판단이 깔렸다. 산업통상자원부 등 전력당국도 역대 최고 수준으로 치솟은 일일 최대전력수요 속 전력 수급 점검에 나섰다. 정부는 곧 여름철 전력수급 대책기간을 개시하고 실시간 비상대응 체계에 나설 예정이다.
정부는 폭염이 물가상승 요인이 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데에도 주력하고 있다. 이미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먹거리 물가가 오른 상황에서 △닭·돼지 등 가축 폐사 △상추·수박 등 농작물 생육 부진 △고수온에 따른 대규모 양식업 피해 등이 예상되고 있어서다. 농림식품축산부와 해양수산부는 지자체, 생산자단체, 관계 기관 등과 폭염 대응반을 각각 가동했다.
정세은 충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출범 초기인 이재명정부가 폭염이란 당면과제에 기민하게 대응해 국민들에 안정감을 주고 있단 점은 긍정적”이라며 “폭염은 향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이 커 보강이 필요한 정책을 발굴하고 물가안정을 위해서도 추가적인 대책을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