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돈만 많이 준다면 지방이라도”…눈 돌리는 취준생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로원 기자I 2025.06.24 20:40:36

대한상의 “기업들, 경력만 원해…대졸 취준생 진입장벽”
수도권 구직자 63.4% “좋은 일자리 있다면 지방갈 것”
비수도권 취업을 위한 조건 1위, 높은 급여…78.9%

[이데일리 이로원 기자] 국내 기업들이 경력 위주의 채용을 원하는 경향이 두드러져 대졸 취업 준비생들의 절반 이상이 취업 진입 장벽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24 금융권 공동채용 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면접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뉴시스)
24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상반기 채용시장 특징과 시사점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민간 채용 플랫폼에 올라온 상반기 채용공고 14만4181건 가운데 경력 채용만을 원하는 기업은 82%에 달했다.

신입 직원만을 채용하는 기업은 전체의 2.6% 수준에 불과했으며, 신입 또는 경력을 뽑는 기업은 15.4%였다.

구직자들은 경력 우대 현상을 부담으로 느끼고 있었다. 대한상의가 대졸 청년 구직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졸 청년 취업인식조사’ 결과(복수응답), 53.9%가 ‘경력 중심의 채용’이 취업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고 답했다.

현실적으로 직무 경험을 쌓을 기회가 많지 않다는 게 청년 구직자들의 입장이다. 실제 청년 구직자의 53.2%는 ‘대학 재학 중 직무 경험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새로운 국제질서, AI 폭풍 등 변화의 방향과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업들의 채용도 공개 채용보다는 수시로, 신입보다는 중고 신입을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구직자의 노동시장 진입을 돕기 위해서는 인턴 확대, 학점 인정 연계형 현장실습 확대, 직무 기반 실무 훈련 중심의 교육과정 개편 등을 통해 재학 중 직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구직자와 구인 기업 간 연봉에 대해서도 입장 차이가 컸다.

올해 상반기 대졸 청년 구직자의 희망 연봉 수준은 평균 4023만원으로 집계됐지만, 신입을 구인하는 채용 공고상 평균 연봉 수준은 3708만원에 불과했다. 희망 연봉과 제시 연봉이 315만원이나 차이가 나는 것이다.

취업난의 여파로 구직자들은 비수도권 취업에 대해서도 긍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거주 신규 구직자의 63.4%는 ‘좋은 일자리가 전제된다면 비수도권에서도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비수도권 취업을 위한 조건으로는 ‘높은 급여 수준’(78.9%)이 가장 많았고 양질의 복지제도(57.1%), 워라밸 실현(55.8%), 고용 안정(42.5%), 커리어·직무역량 개발(29.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윤정혜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분석팀장은 “비수도권 취업 의향은 수도권 취업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지방 취업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이 다소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기업을 끌어들일 파격적인 규제혁신, 과감한 인센티브, AI 인프라 등을 조성해 기업을 유인하고 청년들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터전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