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입 직원만을 채용하는 기업은 전체의 2.6% 수준에 불과했으며, 신입 또는 경력을 뽑는 기업은 15.4%였다.
구직자들은 경력 우대 현상을 부담으로 느끼고 있었다. 대한상의가 대졸 청년 구직자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졸 청년 취업인식조사’ 결과(복수응답), 53.9%가 ‘경력 중심의 채용’이 취업 진입 장벽으로 작용한다고 답했다.
현실적으로 직무 경험을 쌓을 기회가 많지 않다는 게 청년 구직자들의 입장이다. 실제 청년 구직자의 53.2%는 ‘대학 재학 중 직무 경험을 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새로운 국제질서, AI 폭풍 등 변화의 방향과 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업들의 채용도 공개 채용보다는 수시로, 신입보다는 중고 신입을 선호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구직자의 노동시장 진입을 돕기 위해서는 인턴 확대, 학점 인정 연계형 현장실습 확대, 직무 기반 실무 훈련 중심의 교육과정 개편 등을 통해 재학 중 직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구직자와 구인 기업 간 연봉에 대해서도 입장 차이가 컸다.
올해 상반기 대졸 청년 구직자의 희망 연봉 수준은 평균 4023만원으로 집계됐지만, 신입을 구인하는 채용 공고상 평균 연봉 수준은 3708만원에 불과했다. 희망 연봉과 제시 연봉이 315만원이나 차이가 나는 것이다.
취업난의 여파로 구직자들은 비수도권 취업에 대해서도 긍정적 인식을 드러냈다.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거주 신규 구직자의 63.4%는 ‘좋은 일자리가 전제된다면 비수도권에서도 취업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비수도권 취업을 위한 조건으로는 ‘높은 급여 수준’(78.9%)이 가장 많았고 양질의 복지제도(57.1%), 워라밸 실현(55.8%), 고용 안정(42.5%), 커리어·직무역량 개발(29.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윤정혜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분석팀장은 “비수도권 취업 의향은 수도권 취업 경쟁이 치열하다 보니 지방 취업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이 다소 완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종명 대한상의 산업혁신본부장은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기업을 끌어들일 파격적인 규제혁신, 과감한 인센티브, AI 인프라 등을 조성해 기업을 유인하고 청년들이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터전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