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증 중단' 사태 일파만파
신입사원 보증 안돼 출근 막히고
보험설계사 수수료 지급도 차질
서비스 복구 시점조차 예측 못해
[이데일리 김국배 최정훈 기자] 랜섬웨어 공격에 따른 SGI서울보증의 ‘보증 중단’ 사태가 공공사업 입찰까지 불똥이 튀었다. 16일 금융권과 조달청에 따르면 나라장터는 지난 14일부터 ‘서울보증 시스템 장애로 전자보증서 발급이 불가하다’고 공지했다. 나라장터는 조달청이 운영하는 공공 입찰 사이트다. 서비스 중단 범위는 SGI서울보증의 보증 요청 정보 수신, 계약정보와 증권정보 송수신을 포함한 연계 서비스 일체다. 이번 시스템 장애로 조달기관과 수요기관까지 불편을 겪게 된 것이다.
 | [그래픽=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
|
공공기관뿐만 아니라 직장인, 보험설계사 등 민간과 공공 할 것 없이 전방위 피해가 현실화하고 있다. SGI서울보증은 ‘수기’ 조치로 대응하고 있지만 50개에 달할 정도로 제공하는 보증 상품이 많고 지점도 72개에 달해 곳곳에서 업무가 삐걱대고 있다. 일례로 신입사원이 신원보증보험에 가입하지 못해 출근을 못하거나 지급보증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보험 설계사가 수수료를 한번에 받지 못하고 나눠 받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설계사가 월급을 받는 데까지 차질이 빚어진 것이다. 전세대출 보증도 기존에 사전 심사를 통과한 차주를 대상으로 제한적으로 이뤄지는 실정이다.
하지만 정작 SGI서울보증은 이날까지 벌써 사흘째 복구에 매달리고 있음에도 서비스 복구 시점조차 예측하지 못하고 있다. 관련 기관 등에 복구 일정을 ‘미정’으로 공지하고 있다. 리스크가 커지자 SGI서울보증의 독점 구조가 이번 사태의 원인 중 하나라는 지적까지 나오고 있다. SGI서울보증은 민간 보증 시장에서 50%가 넘는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사실상 독점 사업자다. 연간 보증 규모만 350조원에 달한다. 여은정 중앙대 경영학과 교수는 “타 금융기관에도 보증 시장을 일부 개방해 리스크를 분산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SGI서울보증 측은 피해 사실이 확인되면 전액 보상하겠다며 수습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