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통령실은 17일 이규연 홍보소통수석 명의 언론 공지를 통해 강 후보자와 관련해 “(청문회 과정을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기존 입장에 변함없다”며 “자진사퇴로 대통령실 분위기가 기울었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도 오전 브리핑에서 “대통령실의 인사 관련 기류 변화는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그는 “(다른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진행 중에 있다”며 “청문회 과정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일단 이번 주 예정된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마무리가 된 후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청문회 일정이 마무리된 이후인 이번 주말 강 후보자에 대한 거취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지속적으로 정무라인을 통해 강 후보자 등 국무위원 후보자들에 대한 여론 동향 등을 보고 받고 있다. 우상호 정무수석비서관은 16일 오마이TV와의 인터뷰에서 “일부 후보자 경우 여론 동향이 굉장히 안 좋게 흘러가는 것도 대통령께 보고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모두 임명이 목표지만…강행 기류는 아냐”
대통령실은 다만 강 후보자에 대한 임명 강행 기류 역시 아니라고 밝혔다. 우 수석은 “다 이상 없이 임명하는 것이 목표인 것은 맞지만 각 후보자에게 제기된 여러 의혹들이 해명 가능한지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며 “어떤 입장을 결정해 밀고 나가고 있는 것은 아닌 것 같다”고 밝혔다.
|
대통령실과 당 지도부의 결정이 미뤄지는 사이, 민주당 내부에선 강 후보가 스스로 거취를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원조 친명 그룹인 7인회 멤버로, 평소 쓴소리를 아끼지 않는 김영진 의원은 17일 MBC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 “국민 여론, 국민의 눈높이를 당사자, 인사권자 이런 분들이 깊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며, ‘국민 눈높이’를 강조했다.
김 의원은 “저도 보좌진 출신으로서, 보좌진들이 느꼈을 여러 아픔에 대해선 같이 공감을 하고 유감을 표하고, 미안한 마음이 크다”며 “피해를 당했다는 분들의 의견을 분명히 청취해 볼 필요가 있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여성단체연합 “여가부 장관이라면 권력관계 언행 더 책임 보여야”
당 중진인 박지원 의원도 KBS라디오 인터뷰에서 “김대중 전 대통령께서 ‘정치는 내가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 게 아니라 국민의 생각을 따르는 것’이라고 하셨다”며 “민심을 거역해서는 안 된다”고 밝혀, 국민 여론에 따른 거취 결정 필요성을 강조했다.
다수 의원들은 침묵을 지키며 이 대통령의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김민석 국무총리가 인사청문회 전후로 각종 논란에 시달렸을 때, 의원들이 앞다퉈 소셜미디어를 통해 김 총리 지지 입장을 표명했을 때와는 다른 모습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의원은 “당으로선 가장 민감한 ‘갑질’ 이슈이고, 그 대상이 정치적 동지들이기도 한 ‘보좌진들’”이라며 “동료 의원이지만 누가 옹호할 수 있겠나”라고 반문했다.
민주당 보좌진들 역시 익명 커뮤니티를 통해 강 후보자에 대한 비판을 이어가고 있다. 보좌진들의 반발이 확산되자, 민보협(더불어민주당보좌진협의회)도 기존의 애매모호한 태도에서 벗어나 “거취 결정을 본인 스스로 하는 것이 맞다”며 자진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당 외부의 압력도 거세지고 있다. 한국여성단체연합은 15일 “인권과 평등의 가치를 실현해야 할 여가부 장관이라면 조직 내 권력관계에서의 언행에 누구보다 책임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하며 스스로에게 적용하고 실천해야 한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민주당과 동조를 강조해 온 조국혁신당은 17일 “청문회 논란으로 개혁의 동력이 손실되고 있다는 국민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자진사퇴를 요구했다. 친민주당 성향 단체인 민변(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과 참여연대 등도 16일 뒤늦게 입장문을 내고 각각 지명철회와 사퇴를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