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지방소멸, 왜 정부만 책임지냐" 이재준 수원시장의 '균형발전론'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황영민 기자I 2025.06.25 18:16:09

봉화군 ''청량산 수원캠핑장'' 둘러싼 논란에 정면반박
수원 캠핑인구 15만명 중 3~4만명 이상 방문 예상
"수도권에서 얻는 혜택 지방과 상생해야 한다" 강조

[수원=이데일리 황영민 기자] “국가가 하는 일을 지방정부는 하지 못한다? 아니, 할 수 있습니다. 저는 해야 한다고 믿습니다.”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열변을 토했다.

25일 수원시청 중회의실에서 이재준 수원특례시장이 취임 3주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사진=수원시)
25일 수원시청에 열린 취임 3주년 기자회견장. 수원 경제자유구역 개발 구상을 설명하다 난데없이 지방정부 역할론이 튀어나왔다. 봉화군에 위치한 ‘청량산 수원캠핑장’에 대한 질문이 방아쇠가 됐다.

이 캠핑장은 국내 최대 인구수 지자체와 인구 소멸 위기에 놓인 지자체 간 상생협력의 산실이다. 수원시 인구는 지난 5월말 기준 119만1000여 명으로 울산광역시(109만5000여 명)보다 많다. 반면 봉화군의 인구는 2만8900여 명으로 수원시 한 개 동(洞) 수준이다. 지난해 봉화군 사망자는 535명, 출생자는 46명으로 집계됐다.

수원시와 봉화군은 2015년부터 공직자들이 두 도시의 대표 축제인 수원화성문화제와 봉화송이축제를 서로 방문하며 교류를 이어왔다. 2024년 6월 우호도시협약을 체결했고, 연계 사업으로 청량산 캠핑장을 수원시가 운영하는 상생협력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2017년 개장한 1만1595㎡ 규모의 청량산 캠핑장의 연간 방문객은 1만여 명에 불과하다. 수원시는 봉화군으로부터 이 캠핑장을 10년 무상임대하고, 20억여 원을 들여 카라반과 글램핑 등 시설을 확충키로 했다. 수원시민은 반값에 캠핑장을 이용할 수 있다. 목표 연간 방문객은 2만여 명이다.

경북 봉화군에 위치한 청량산 캠핑장 전경.(사진=수원시)
사업 발표와 함께 수원특례시의회 국민의힘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 ‘혈세낭비’란 이유에서다. 우여곡절 끝에 예산은 통과됐지만, 진통은 여전하다. 이날 이재준 시장은 반박했다. 100억원을 아꼈다고 되받아친다.

“수원시 캠핑 인구 15만명 중 관내 광교캠핑장은 1년에 3만명밖에 소화를 못합니다. 나머지 12만명은 각자 알아서 합니다.” 이 12만명 전부는 아니더라도 일부를 봉화군에 보내자는 계획이다. 천정부지로 치솟은 수원 땅값을 감안했을 때 캠핑장 신설 비용을 100억원 아꼈다는 의미다.

현재 목표 방문객 연간 2만명도 보수적 추계라고 한다. 최소 3~4만명 방문을 예상했다. 그러면서 다시 핏대를 올렸다. “지방소멸도시하고 우리가 같이 살아야 합니다. 우리 국가입니다. 캄보디아에 원조하는 건 왜 지적을 안 합니까? 거기는 그냥 주는 거예요. 그런데 여기(봉화)는 우리 국토 내에서 우리가 같이 살아가는 겁니다.”

이재준 시장의 지방과 상생은 이번 캠핑장 사업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 대표회장을 맡고 있던 지난 4월 28일에는 인구감소지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와 상생협력 협약을 맺었다. 인구 100만 이상 특례시들이 인구감소지역과 경제, 문화, 관광, 자원봉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며 지역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이번 봉화군 청량산 캠핑장도 같은 맥락이다.

“특례시가 (소멸위기) 지방정부에 투자하겠다. 행정안전부에도 이런 의지를 보여주고 공모사업이나 행정적 지원 등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왜 중앙정부에만 지방소멸을 책임지라고 합니까. 우리가 수도권에서 얻는 혜택이 좀 더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것을 지방과 상생해야 합니다.” 이재준 시장의 균형발전론이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