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멕시코에 공장부지까지 사놨는데"...車부품업체도 발동동

하지나 기자I 2025.03.27 15:58:31

美 관세 정책 오락가락, 지속가능성도 불투명해
투자 속도조절..관세 부과로 경쟁력 약화 우려도
포스코·동국제강 통상조직 신설, LG전자도 채용 나서
"투자는 다양한 변수 고려해야..상황 예의주시"

[이데일리 하지나 김응열 기자] 국내 자동차 부품업체 A사는 최근 멕시코에 공장 부지를 매입했으나 미국이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하면서 고민에 빠졌다. 오랜 숙고 끝에 내린 투자 결정이었지만 결국 회사는 속도 조절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 다른 자동차 부품업체 B사는 2~3년간 준비한 끝에 미국 고객사의 요구 사양에 맞춘 제품을 납품하려 했으나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 제품 가격경쟁력이 약화하면서 거래처 변경 가능성이 제기되면서다.

◇美 관세 정책 예측 불가..현지서도 해석 분분

2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전방위적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기업들이 큰 혼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배경한 코트라 강소중견기업팀 중견글로벌사업 수출전문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은 예측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정책의 지속 가능성조차 확신할 수 없어 기업들이 대응 전략을 쉽게 수립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전날 산업통상부와 코트라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한 ‘수출기업 지원 종합설명회’에는 수출기업과 정부, 유관기관 관계자 1000여 명이 몰려 최근 관세 동향과 정부의 지원 사업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

산업통상부와 코트라가 지난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수출기업 지원 종합설명회’를 개최한 가운데, 1대1 상담회가 이뤄지고 있다.(사진=코트라 제공)
심지어 미국 현지 내에서도 관세 조치에 대해서 해석이 분분하다. 허제우 제우스 관세사무소 대표 관세사는 “미국에서도 뉴욕과 워싱턴D.C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의견이 엇갈릴 정도로 현지에서도 정리가 안되고 있다”면서 “그러다보니 기업들에는 향후 논란의 여지가 없도록 HS코드를 명확히 하는 한편, 관세를 우선 납부한 후 나중에 환급을 받자는 식으로 안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발언과 정책이 일관되지 않고 오락가락하는 것에 대해 미국내 통상 정책을 담당하는 상무부와 무역대표부(USTR)간 관세 체계와 집행 방식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통상 조직 강화 잇따라..“美 투자는 신중해야”

정보 취득의 한계가 있는 중소기업들은 물론이고 미국 내 현지 법인이나 대관조직을 보유한 대기업들 역시 혼란스럽기는 마찬가지다. 이에 통상 조직을 강화하고 인력을 보강하는 움직임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12일부터 25% 관세가 부과되고 있는 철강업계는 당장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황이다. 포스코는 장인화 회장 직속으로 글로벌통상정책팀을 신설했으며 동국제강그룹 역시 특별수출본부를 설치했다. 이는 급변하는 국내외 통상환경 및 정책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다.

LG전자 또한 국제통상 및 반덤핑 관리 경력직을 채용하고 있다. 담당 업무는 반덤핑 리스크가 있는 국가 및 제품을 모니터링·관리하고 반덤핑과 상계관세,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 등 무역규제 조사 대응 및 무역분쟁 소송 대응이다. 무역규제로 인한 기존·신규 투자 리스크를 분석하고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업무도 맡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 가전기업들의 생산공장이 있는 멕시코를 대상으로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현재는 내달 2일까지 관세 부과를 유예했다. LG전자의 경우 멕시코 레이노사와 몬테레이 지역에서 TV 및 냉장고를 만들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무턱대고 현지 투자를 강행했다가 수요가 뒷받침되지 않아 고정 비용 부담만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투자 결정은 신중해야 한다”며 “지금으로서는 뾰족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어려워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26일 서울 코엑스에서 ‘통상환경 전환기, 수출기업 지원 종합설명회’를 개최한 가운데 안덕근 장관(왼쪽 첫 번째)와 강경성 사장(왼쪽 두 번째)이 KOTRA 해외무역관장과 실시간 화상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코트라 제공)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