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후보자는 “정년 연장이나 주 4.5일제와 같은 노동시간 단축은 디지털 전환이나 저출생 고령화 등 인구 변화, 노동력 감소 등 우리 앞에 닥친 대전환의 위기를 돌파해야 할 유력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당연한 명분으로 밀어붙이지 않겠다”며 “주 4.5일제가 어려운 기업이 있다면 무엇이 어렵게 하는지 정부 관계들이 잘 살피겠다. 중요한 의제는 노사정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공동의 일을 찾아나가는 길을 모색해 보겠다”고 덧붙였다.
김 후보자는 가장 시급한 과제로는 ‘노동시장 분절화’를 꼽았다. 그는 “과거에는 정규직 비정규직 문제가 중심이었다면 지금은 비정규직도 아니고 비임금 노동자가 확산되고 있다”며 “이렇게 분절화된 노동 시장을 어떻게 통합시켜 놓을 것인가가 이재명 정부가 추구하는 성장과 통합의 국정기조와 일맥상통한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법의 보호 밖에 내몰려 있는 수많은 일하는 사람들, 평범한 우리 이웃들의 일할 권리를 보고하는 것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한 문제”라고 했다.
사회적대화 복원을 위한 의지도 드러냈다. 김 후보자는 “노·사·정 3자가 머리를 맞대는 과정이 대단히 중요하지만 이 과정이 쉽지 않다”면서도 “적어도 제가 알기로는 그 방법(사회적대화) 외에는 우리 앞에 닫혀 있는 사회적,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일은 없다. 인내심을 가지고 끊임없이 만나고 소통하고 설득 당하겠다는 자세로 임하겠다”고 했다.
또 “대화 자체가 목적이라고 하는 국제노동기구이 3자 대화의 대원칙을 지지한다”며 “어떤 결론을 미리 내려놓고 대화를 시작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