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의 조직 개편 이슈가 완료되지 않은 영향이다. 현재 국정기획위원회를 중심으로 금융당국 조직 개편 논의가 한창이다. 금융위의 감독 기능과 금감원의 감독·집행 기능을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방안이 유력하다. 금감위 산하에 금감원와 독립된 금융소비자보호원을 둔다는 구상이다.
금융당국의 조직개편이 논의되면서 인사도 늦어지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후 19개 부처 가운데 17개 부처 장관 후보자를 내정한 상태다. 다만 금융위와 금감원의 수장과 관련해서는 소문만 무성하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금융당국 조직개편까지 이끌기 위해 유임될 것이란 소문도 돌고 있다.
금융협회장 자리는 정부 입김을 강하게 받는다. 이런 탓에 정국 상황에 따라 회장 선출이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대표적인 예가 저축은행중앙회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 3월 31일 오화경 회장이 연임에 성공했다. 애초 오 회장은 2월 16일 임기가 만료됐지만 탄핵 정국 탓에 차기 회장 선출 작업이 연기되면서 유임 상태로 업무를 지속했다.
여신금융협회도 비슷한 절차를 밟을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앞서 김주현 전 금융위원장이 금융위로 자리를 옮기기 전까지 1개월여간 여신금융협회장 직무를 추가로 수행한 전례도 있다. 다만 관련 업계에서는 정 회장의 연임 가능성은 작게 보고 있다. 정관상 연임은 가능하지만 지금껏 연임한 사례가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정 회장의 차기 회장 선출까지 업무 공백을 메우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차기 회장도 관(官) 출신 인사가 차지할 것이란 관측이 높다. 2010년 여신금융협회장이 상근직으로 바뀐 뒤 김덕수 전 KB국민카드 사장을 제외하고 모두 관료 출신이 회장직에 올랐다. 저축은행중앙회는 탄핵 정국 속에서 차기 회장을 선출하면서 민간 출신인 오 회장이 연임한 사례다.
업계 관계자는 “여신금융협회장 자리는 금융당국과 여신업계 간 이견을 조율하는 자리다”며 “당국과의 스킨십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가맹점 수수료율 문제 외에도 스테이블코인 등 다양한 이슈가 있어 차기 회장도 관 출신 인사가 맡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