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AI반도체 인재 키우자"…새 정부, 韓 두뇌 유출 잡을까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조민정 기자I 2025.06.27 16:46:22

''AI 3대 강국'' 국정과제에 ''인재 양성'' 사업 탄력
과기부, 첨단패키징 양성 사업…선정평가 진행
韓 두뇌수지 적자 증가…대학도 인재 육성 의지

[이데일리 조민정 기자] 이재명 정부가 ‘인공지능(AI) 3대 강국’을 최우선 국정과제로 내세우면서 AI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관련 사업들이 탄력을 받고 있다. 특히 최근 첨단 인재들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상황에서 인력 유출 문제를 잡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사진=게티이미지)
27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반도체 첨단 패키징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신규 과제 공고를 내고 선정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AI 반도체 성능이 고도화하며 후공정 분야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탓에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다. 사업에 선정된 대학은 ‘전문인력 양성센터’를 설치 및 운영하고 ‘계약정원제(계약학과 외 채용 TO)’를 활용해 기업과 채용협약을 추진한다.

올해 과기부에서 처음 추진하는 AI 반도체 인재 양성 사업은 대학 선정 단계까지 마쳤다. 성균관대, 연세대는 연평균 20억원을 최대 6년간 지원 받아 ‘AI 반도체 혁신연구소’를 설립하고 AI 반도체 분야 석·박사생을 매년 20명 양성한다. 해당 사업은 올해 정부기관에서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으로 산학연계를 위해 마련됐다. 삼성전자, 모빌린트 등 기업들이 협력기업으로 참여할 예정이다.

새 정부의 AI 산업에 대한 육성 의지로 관련 사업이 속속 진행되면서 학계에서도 인력 양성에 대한 의지를 다지고 있다. 서울대는 지난주 반도체공동연구소 인재양성관 준공식을 열고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인재를 키우겠다고 했다. 전북대는 지난 17일 반도체공동연구소 설립추진단을 출범하며 본격적인 설립 작업에 돌입했다. 세계적인 반도체 소재·화학·센서 기업들과 협력해 실무형 인재 양성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최근 국내 고급 인력들이 해외로 빠져나가는 문제가 심화하며 업계와 학계 모두 고민이 깊은 상황이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에 따르면 국내 과학자의 해외 이직률(2.85%)이 외국 과학자의 국내 유입률(2.64%)보다 0.21%포인트 높았다. 국내에 들어오는 전문 인력은 줄고 해외로 나간 전문인력은 더 많았던 것이다. 두뇌수지 적자는 2019년 7만 8000명에서 2021년 8만 4000명으로 확대됐다.

김천구 대한상의 SGI 연구위원은 “단순히 인재 유출을 막는 데 그치지 않고, ‘브레인 게인’(Brain Gain) 전략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해 인재가 다시 유입되고 순환되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AI 인재 순유출입 통계.(사진=대한상공회의소)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