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초 유정복 인천시장은 민선 6기인 2017년 제3연륙교 개통에 따른 인천대교(영종~송도)와 영종대교(영종~청라)의 손실보전금을 시비로 부담하기로 정하고 2018년 지방선거 때 인천시민의 제3연륙교 통행료 무료를 약속했다. 이어 2018년 선거에서 당선된 박남춘 인천시장은 2020년 한국토지주택공사(LH), 인천도시공사(iH)와 제3연륙교 공사비 분담 협약을 한 뒤 착공했다. 국토교통부와는 손실보전금을 시비로 부담하기로 합의했다. 오는 12월 개통 예정인 제3연륙교는 인천 중구 중산동(영종도)과 서구 청라동을 잇는 길이 4.68㎞, 폭 30m짜리 왕복 6차로 교량이다. 영종대교, 인천대교에 이어 영종도와 인천 내륙을 잇는 세 번째 다리이다.
영종주민은 유 시장이 2018년 약속한 제3연륙교 무료화를 지키지 않으려고 한다며 반발했다. 영종국제도시총연합회는 “제3연륙교는 영종·청라 택지 분양가에 교량 건설비가 포함돼 주민 부담의 공공도로로 조성하는 것으로 통행료 부과는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또 제3연륙교의 전 국민 무료화를 요구했다. 이 단체는 “무료화가 돼야 영종·청라의 접근성이 향상되고 국민 이동권이 보장된다”고 설명했다. 주민들은 시와 국토부의 합의서에 손실보전 주체가 국토부로 명시돼 있다며 국가가 해야 할 재정 부담을 인천시에 전가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주민 반발이 거세지자 인천시는 통행료심의위 개최를 연기하며 여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합의서에 따라 시가 국토부 대신 손실보전금을 내야 하는데 비용 산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다”며 “국토부와 소송을 통해 손실보전 규모를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영종·청라주민 무료화 등 여러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며 “아직 확정된 것이 없어 입장을 표명하기 어렵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