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이번 대출규제로 풍선효과가 예상됐던 노도강(노원·도봉·강북) 역시 오름세가 한풀 꺾이며 서울과 수도권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 열기가 가라앉는 분위기다.
1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첫주(7월 1일~7월 7일) 주간 아파트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가격은 일주일 새 0.29% 상승했다. 지난주 0.40% 오르며 8주 만에 상승폭이 둔화한 데 이어 상승폭이 한 풀 더 꺾인 것이다.
서울과 수도권 등 규제지역의 주택담보대출이 6억원 한도로 정해지고 전입 기간을 6개월로 단축하는 등 초강력 규제책이 나온 이후 아파트 가격 오름세가 본격적으로 둔화하기 시작했단 분석이다.
특히 상승세가 두드러지던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 마포·성동구 등 한강벨트를 비롯해 ‘풍선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됐던 노도강(노원구·도봉구·강북구) 도 상승폭이 둔화했다.
이 기간 서초구(0.65%→0.48%), 강남구(0.73%→0.34%), 송파구(0.75%→0.38%)를 기록했으며 용산구(0.58%→0.37%)와 강동구(0.62%→0.29%)를 나타내며 상승폭이 눈에 띄게 둔화했다.
다만 마포구(0.85%→0.-0%), 성동구(0.89%→0.70%)는 상승폭이 둔화하긴 했지만 여전히 서울 평균을 한참 웃도는 상승폭을 보이고 있다.
풍선효과가 예상되던 노원구(0.17%→0.13%), 도봉구(0.08%→0.05%), 강북구(0.11%→0.07%)도 전주 대비 상승폭이 둔화했다.
반면 금천구(0.08%→0.09%), 관악구(0.10→0.19%), 구로구(0.11%→0.18%)는 소폭이지만 상승폭이 확대하는 모습을 보여 풍선효과가 노도강에서 금관구로 넘아가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 기간 강서구(0.13%→-0.25%)도 상승폭이 확대했다.
대출규제 발표에도 지난주 1% 안팎의 가격 상승세를 보이던 경기도 과천·성남시 분당구도 상승세가 꺾였다.
과천(0.98%→0.47%)과 분당(1.17%→0.46%) 모두 상승폭이 급격하게 둔화했으며 그 외 수도권 지역 대부분이 상승폭이 둔화하며 수도권(0.17%→0.11%) 평균 오름세가 더뎌졌다.
지방(-0.02%→-0.03%) 아파트 가격은 하락폭이 더 확대했다. 5대광역시(-0.04%→-0.05%)는 상승 전환했으며 대출 규제 지역에 포함되는 세종(0.02%→0.00%)은 상승에서 보합으로 돌아섰다.
시도별로는 경기(0.04%), 충북(0.03%), 전북(0.01%) 등은 상승, 대구(-0.08%), 전남(-0.07%), 대전(-0.07%), 광주(-0.06%), 제주(-0.04%), 강원(-0.04%), 충남(-0.03%) 등은 하락했다.
한편 이 기간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0.01% 오르며 지난주(0.02%) 대비 상승폭 축소됐다. 수도권(0.05%→0.03%)은 상승폭 축소, 서울(0.07%→0.08%)은 상승폭 확대, 지방(-0.01%→-0.01%)은 하락폭 유지됐다. 시도별로는 울산(0.06%), 부산(0.04%), 경기(0.03%), 충북(0.03%), 전북(0.01%) 등은 상승, 대전(-0.08%), 인천(-0.06%), 충남(-0.05%), 대구(-0.05%), 제주(-0.04%), 강원(-0.04%) 등은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