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천구(214건), 영등포구(177건) 등 신속통합기획 등 정비사업이 활발한 지역들의 증여도 많았다.
특히 강남3구의 증여 건수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강남구는 1월 24건에서 6월 78건, 송파구는 같은 기간 27건에서 53건으로 늘어났다.
상반기 동안 증여 건수가 가장 적었던 자치구는 동대문구로 총 76건으로 조사됐다. 종로구 77건, 성북구 78건, 금천구 84건 등으로 집계됐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프리미어 패스파인터 전문위원은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 기조가 적잖은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며 “투기과열지구 및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같은 핀셋 규제와 세제 정책의 잦은 변경 등 부동산 정책 전반의 변화가 지속되면서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장기적 정책 신뢰에 대한 의문이 제기돼왔다”고 밝혔다.
이어 “불확실한 정책 환경 속에서 자산가들은 매도보다는 증여를 통해 자산을 보유하는 전략이 보다 유연하고 안정적인 대응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증여를 통해 다주택자 종합부동산세 중과세율을 피할 수 있는 데다 현재 일시 유예된 양도소득세 중과가 재개될 가능성에도 대비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양 전문위원은 “자산가들의 선호도가 높은 강남3구와 용산구, 정비사업이 활발히 진행 중인 여의도, 목동 등 주요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으로 거래가 쉽지 않다”며 “내수 침체, 경기 성장 둔화 등 기준금리 인하 압력과 공급 부족에 대한 우려, 향후 집값 상승 기대감이 겹쳐 매도보다 증여를 택하는 흐름이 더 강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