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우리나라 전체 주택의 가격의 총합(주택시가총액)은 7158조원으로 추계됐다. 최근 2년 간 감소세를 보이던 주택시가총액은 3년 만에 증가 전환하며 단번에 역대 최대치인 2021년의 7244조원에 바짝 다가섰다.
주택시가총액은 아파트와 단독주택 등의 모든 주거용 건물과 그 건물의 부속토지의 가치를 합한 전체 금액이다. 집값 변동, 주택 시장의 지역별 쏠림, 자산 불평등 분석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다.
|
주택시가총액에서 각 시도가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서울이 34.9%(2498조)를 차지해 가장 컸고, △경기 29%(2075조원) △부산 5.4%(390조원) △인천 4.8%(341조원) 순이었다.
가장 비중이 큰 서울과 경기를 합하면 65%에 육박하며, 수도권으로 분류되는 서울·경기·인천의 비중은 2023년 말 67.7%에서 작년 말에는 68.7%로 1%포인트 확대되며 증가세를 지속했다.
기자 Pick
집값이 차지하는 비중과 상승률 등 모든 면에서 부동산 부문에서 수도권 ‘쏠림’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는 점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
앞서 한은의 상반기 금융안정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올해 4월까지 2년여 동안 서울 주택 매매가격은 16.1% 상승했고, 수도권 전체로는 9.6% 올랐다. 반면 비수도권 집값은 오히려 1.7% 떨어졌다.
기간을 늘릴수록 서울과 그 외 지역의 집값 상승률 격차는 더 커진다. 한은이 지난달 발표한 ‘주택시장 양극화의 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보면 2013년 말 대비 올해 5월 서울 집값은 112.3% 뛰었다. 같은 기간 전국 집값 상승률은 42.9%로, 그 격차는 69.4%포인트였다. 미국, 중국, 일본, 영국, 캐나다 등 주요국과 비교해도 서울은 집값 상승률이나 전국과의 격차는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주택가격 양극화는 지역 간 주거비 격차 확대와 비수도권 건설 경기의 구조적 부진 등을 초래해 경제의 균형적인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주택은 우리나라 국민들의 가장 큰 자산이다. 작년 말 기준 우리나라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중에서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50.9%로 가장 컸다. 이어 △주택 이외의 부동산(23.7%) △현금 및 예금(19.4%) △보험 및 연금(12.1%)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