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상청에 따르면, 16일과 17일 중부지방에는 장마철 강한 비를 유발하는 전형적인 패턴이 나타날 전망이다. 이 기간에 한반도 북쪽에서는 기압골과 함께 차고 건조한 공기가 내려오고, 우리나라 남동쪽에서는 확장된 북태평양고기압을 따라 열대수증기가 유입되겠다. 이에 따라 성질이 다른 두 공기층이 만나는 중부와 전북은 다른 지역보다 더 강한 비구름이 형성되겠다. 이들 지역에는 16일 밤부터 다음날 오전까지 시간당 30~50㎜의 매우 강한 집중호우가 발생할 수 있다. 시간당 강수량이 30㎜에 달하면 지하차도처럼 지대가 낮은 곳은 물에 잠기고,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는 시야 확보가 어려울 수 있다.
16일부터 이틀간 주요 강수지역의 예상 강수량은 △경기 남부 및 충남 서해안 200㎜ 이상 △강원 중·남부 내륙 150㎜ 이상 △충청 내륙 150㎜ 이상 △전북 북서부 150㎜ 이상이다. 다만, 중규모 저기압의 위치에 따라 강수가 집중되는 구역이 크게 바뀔 수 있는 상황이라 다른 중부지방과 전북에도 폭우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 그 밖의 남부지방과 제주도에도 19일까지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많은 양의 열대 수증기가 공급돼 비가 계속 내릴 수 있다.
이번 비는 한밤중에 집중되기 때문에 저지대의 침수 위험이 크다. 기상청은 “취약시간대에 많은 비가 예상되기 때문에 저지대와 지하차도는 침수에 사전대비가 필요하고, 천둥·번개와 돌풍에 의한 시설물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농경지와 농수로가 범람하거나 산사태, 낙석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고 당부했다.
비가 내리는 동안 폭염은 일시적으로 완화되겠다. 하지만 기상청은 17일부터 우리나라에 고온다습한 남서풍이 다시 불어서 20일 이후 대부분 지역에 폭염이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16일 아침 최저기온은 19~24도, 낮 최고기온은 26~31도로 예측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