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서 이주민 숫자가 늘어나는 상황 속에서 이주민이 가진 감염병이 국내 공중보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나오고 있다. 유석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 또한 이러한 문제 의식을 갖고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2000년 1월 1일부터 2024년 6월 11일 사이에 발표된 한국 이주민의 감염병 관련 연구를 대상으로 논문 검색 및 데이터 추출을 수행했다. △홍역 △A형 간염 △B형 간염 △결핵이 대상이었다.
그 결과 여러 문헌에서 이주민의 결핵 위험성이 내국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제주에서 실시한 연구로는 이민자 95명(3.4%)이 결핵을 앓고 있었고 이민자 6명(0.2%)이 다제내성 결핵을 앓고 있었다. 또 이민자의 잠복 결핵 감염 부담은 28.1%로 기준 한국인 인구에서 관찰된 19.0%에 비해 높았다.
2013년에서 2018년 사이에 수행된 국내 연구에서는 전국의 6만 3241명의 환자에 대한 결핵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해보니 1309건(2.1%)에서 다제내성 결핵이 발생했다. 특히 이민자는 한국인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양의 상관관계(오즈비(OR) 2.38)를 보였다. OR이 1이 넘어가는 것은 위험인자, 즉 이민자일 경우 결핵이 다제내성 결핵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내국인보다 크다는 의미다. 여기에 가장 큰 양의 OR을 기록했다는 것은 이민자라는 인자가 다제내성 결핵의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는 뜻이다.
|
연구진은 이번 연구의 애로사항으로 근거로 쓰일만한 문헌이 매우 적었다는 점을 들었다. 기존에 이주민 감염병 연구가 제한적으로 이뤄졌다는 의미다. 연구를 진행한 유석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2000년 이전에는 한국 이주민의 감염병 추세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연구 부족은 당시 한국 내 이주민 인구가 제한적이기 때문일 수 있으며 따라서 이러한 연구는 공중보건에 큰 관심사가 아니었다”면서 “최근 한국 이주민 수가 크게 증가함에 따라 이주민의 감염병 부담을 이해하는 것이 공중보건 당국의 중요한 문제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에서 이주민의 감염병에 대한 이전 항원 노출 상태를 조사한 연구는 거의 없으므로 감염역학적 관점에서의 잘 디자인된 연구 프로토콜 개발 및 우선순위 감염병 선정 및 연구 수행을 통해 이주민 증가에 따른 국내 감염병 위기 관리 및 이주민 건강권 보호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정부 또한 외국인 결핵환자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준비하거나 시행 중이다. 이승은 질병관리청 결핵정책과장은 “결핵 고위험국 대상 결핵검진 의무화 등으로 입국전 결핵환자 유입방지와 결핵검진, 치료 및 신속한 역학조사를 통한 지역사회 전파방지 등 외국인 결핵환자 관리를 시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법무부 등 관계부처와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