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주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 후보자의 제자 논문 표절은 권력형 범죄”라며 이같이 밝혔다.
|
주 의원은 “제자 논문 한 두쪽을 그대로 베낀 부분도 있다. 표와 수식도 똑같이 옮겼다”며 “급하게 베껴 쓰다가 오타도 났다. ‘10m 정도’를 ‘10m wjd도’라고 썼다. 표절 후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주 의원은 이 후보자를 향해 “제자 논문을 이런 식으로 50% 이상 표절했다. 논문 도둑질이 10건이 넘는다”며 “논문은 표절해도 문제를 제기할 수 없는 힘없는 제자만 노린 것”이라고 했다.
끝으로 “독일 안네테 샤반 전 교육부 장관은 논문 표절 1건으로 사퇴했다”며 “김병준, 김명수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도 같은 이유로 물러났다. 우리 청년들은 지금도 도서관에서 밤새거나 직장도 그만두고 논문을 쓴다”고 일갈했다.
|
A씨 박사 논문과 이 후보자 논문 두 편을 표절 검사 프로그램인 ‘카피킬러’로 비교한 결과, 표절률은 각각 37%와 48%로 나타났다. 학계는 통상 표절률이 25% 이상이면 실제 표절 여부를 검증해야 하는 수준으로 본다.
이에 대해 학계에선 지도교수였던 이 후보자가 제자의 연구 성과를 먼저 발표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교육부 인사청문회준비단은 “후보자가 2007~2019년 작성한 논문들은 총장 임용 당시 전문가로 구성된 연구윤리검증위원회로부터 ‘연구 부정행위 없음’으로 공식 확인됐다”며 “논문과 관련해 제기된 의혹에 대해서는 청문회 과정에서 충실하게 소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