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은 20대 대선 당시 공약으로 청와대 이전을 내걸고 당선 이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이전 대상지를 확정했다. 당초 공약은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로의 이전이었지만, 2022년 3월 15일 국방부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보고 이후 본격화 되더니 5일 뒤 윤석열 당선인이 직접 국방부 청사로의 이전 계획을 발표했다. 공론화나 공청회, 연구용역 등은 생략됐고 전담조직도 인수위원회가 아닌 당선인 직속 ‘청와대이전TF’가 추진했다.
이에 따라 무속인 ‘천공’ 점지설이 확산됐고, 경찰은 천공 아닌 다른 풍수가 백재권이 대통령 관저 후보지를 답사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
실제로 국방부 장관·차관실과 기획조정실장실, 국방정책실장실, 작전·대비태세 부서가 국방부 본청 옆 합참으로 이전하면서 합참 내에 있던 군사지원본부가 국방시설본부 건물로 옮겨갔다. 작전·정보·전략본부 등의 일부 조직도 국방시설본부로 떨어져 나갔다.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실과 전력국 등은 옛 국방부 청사인 별관 건물로 이전했고, 이곳에 있던 국방부 직할부대와 근무지원단 일부가 후암동으로 옮겨졌다. 해당 건물에 입주해 있던 방산기술지원센터는 신대방동으로 이전했다.
이같은 조직 분산으로 업무 효율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강화된 검문·검색으로 국방부 공무원들과 군인들의 출입이 번거로워졌다. 게다가 체력단련실 등 주요 시설을 대통령경호처 등과 함께 사용하는 불편도 있었다. 주차공간도 턱없이 부족해 도로 곳곳이 주차장을 방불케 한다. 국방부 연병장을 대통령실에 내준 국방부 장관은 해외 귀빈 의장행사를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합참 연병장에서 해야 했다.
특히 최소한의 리모델링 공사만 하고 대통령 업무를 시작했기 때문에 대통령실 경내 및 국방부 영내는 매일이 공사판이었다. 2022년 3월 말부터 대통령실 청사 내·외 뿐만 아니라 대통령경호동과 소방대, 출입센터 등에 대한 공사가 진행됐다. 지금도 국방홍보원 건물 재건축과 국방부 후문 민원센터 공사가 한창이다.
|
윤 전 대통령은 국민과의 소통 활성화를 이유로 대통령실을 용산으로 이전했지만 국방부 영내는 군사시설로 지정돼 있기 때문에 이미 일반 시민들의 접근이 어려운 곳이었다. 출근 때마다 하던 약식 기자회견, 이른바 ‘도어스테핑’도 미국 순방 중 욕설 논란과 그로 인해 일부 언론과 마찰을 빚자 6개월 만에 중단했다. 또 군 장성 인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삼정검 수여식과 각종 회의나 행사를 청와대 영빈관과 본청 등에서 진행하는 등 업무의 비효율을 낳았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