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수도권 주택가격 오름세와 가계부채 증가세가 크게 확대됐고 최근 강화된 가계부채 대책의 영향도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설명했다.
지난 5월 금리 인하 이후 정책 여건의 가장 큰 변화로 ‘부동산 가격 급등’을 들었다. 이 총재는 “금융안정 측면에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과열되고, 가계부채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크게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성장에 대해서는 추가경정예산(추경) 등에 따른 상방 리스크와 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하방 리스크가 공존하는 것으로 봤다. 이 총재는 “특히 7월 말까지 3주간의 추가 협상 결과에 따라 향후 성장경로가 크게 달라질 수 있는 만큼, 그 전개상황을 점검한 후에 대응할 여지가 있다”고 했다.
가계부채와 관세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한은은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명확히 했다.
이 총재는 “안정된 물가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당분간 낮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의 인하 기조를 이어나갈 필요가 있다”며 “다만 단기적으로 금융안정 리스크가 급증한 데다, 재정·관세정책 등과 관련한 경제전망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추가 인하의 시기와 폭은 향후 입수되는 데이터를 보면서 결정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