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 예타를 통과한 ‘서부관 광역 급행철도’(사업비 2조 6710억원)는 김포시 장기역에서 인천 검단·계양, 부천 대장을 거쳐 청량리역까지 운행하는 급행철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교통수요를 분산해 김포골드라인 등 수도권 서부 지역의 출퇴근시 혼잡을 낮추고 서울 도심으로의 접근성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시 노포역에서 부산 기장군, 경남 양산시를 거쳐 KTX 울산역까지 광역철도를 건설하는 사업(2조 5475억원)도 예타를 통과했다. 정부는 부산·양산·울산 내 주요 거점을 30분 내로 연결하는 등 동남권 초광역권 공동체 형성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함께 예타를 통과한 ‘수도권 제1순환선 지하고속도로 사업’(4조 6550억원)은 퇴계원IC~판교JCT 구간까지 소형차 전용 지하고속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수도권 제1순환선의 상습 정체 구간을 해소하고 하남 교산지구 등 제3기 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량 증가에 조기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가장학금 사업은 국가장학금 지원이 노동시장의 성과 제고와 사회이동성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장학금 지원규모가 늘어나며 모든 소득구간에서 실부담액·실부담률 등 대학등록금 부담도 지속 감소했다.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1구간의 지난해 실부담률은 12.2%로, 저소득층의 등록금 부담이 상대적으로 컸다.
이에 따라 저소득층의 부담을 낮추기 위해 낮은 소득구간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하후상박형 제도’가 대안으로 제시됐다. 정부는 이를 통해 오는 2035년까지 현행 제도 대비 약 5000억원의 재정부담을 덜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단지 지원 사업을 위해서는 정부 지원사업 간 연계 강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 확대 방안이 제시됐다. 각 사업마다 별도 선정절차 등 개별적으로 운영되는 보다 통합적·계획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이날 나온 평가를 바탕으로 내년 예산안에 반영하고 제도 개선을 추진한다. 임 차관은 “대한민국이 총체적 위기에 직면한 현 상황에서 당면 경기 대응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등 산업경쟁력과 지역소멸 등 구조적인 과제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며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 해결에 예타 제도가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제도를 근본적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