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재판소는 이날 오전 11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사건에서 재판관 전원일치 의견으로 파면을 선고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해 12월 3일 선포한 비상계엄과 관련해 △절차적 위법성 △포고령 1호의 위헌성 △군·경의 국회 투입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압수수색 시도 △국회의장 등 주요 인사에 대한 체포 지시 등 총 다섯 가지 쟁점을 모두 탄핵 사유로 인정했다.
|
그러나 언개련은 이번 결정이 끝이 아니라고 지적했다. 윤석열 정부가 그간 한국 사회에 미친 악영향이 심각하다는 점에서 언론 자유의 위축과 민주주의 후퇴, 경제 및 외교적 무능 등 다방면에서 후속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특히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보호무역 조치에 대해 한국이 아무런 대응을 하지 못한 점을 지적하며 외교 무능의 상징이라고 꼬집었다.
언개련은 “파면 결정이 정권교체와 조기 대선으로 이어질 수는 있으나, 그보다 더 중요한 과제는 국민적 분열의 해소와 극우 세력의 준동을 어떻게 잠재울 것인가에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이후 한국 사회가 적폐청산에 몰두하며 소중한 시간을 허비했던 전례를 언급하며, 이번에는 그 과오를 되풀이하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12·3 내란 사태에 대한 단죄는 당연한 절차이지만, 그와 동시에 통합과 치유, 그리고 제도 개혁을 통해 우리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언개련은 끝으로 “윤석열 파면은 2025년 한국 사회가 지켜낸 상식이자 공정의 결과”라면서도 “불행히도 우리는 10년 사이 두 명의 대통령이 파면되는 국가가 되었으며, 이는 구조적 개혁 없이는 반복될 수밖에 없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탄핵과 파면을 넘어, 진정한 사회 통합과 정치 개혁의 길로 나아가야 할 때”라고 언개련은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