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코스피, 정책 모멘텀 이어지면 내년 상반기 3600선 가능"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이용성 기자I 2025.06.24 13:41:37

김병연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투자전략부 이사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코스피가 올해 하반기 조정을 거친 후 내년 상반기 3600선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코스피가 이스라엘과 이란의 완전한 휴전 합의 소식에 힘입어 24일 3,060대에서 강세 출발한 24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김병연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투자전략부 이사는 24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향후 정부 정책이 예정대로 시행돼야 한다”며 “주요 이벤트를 소화한 뒤 내년 상반기 3600포인트까지 추가 상승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하반기에는 7월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종료, 9월 말 예산안 협상 등 주요 이벤트가 리스크 요인이지만 단기 조정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미국과 한국의 금리 인하가 예정된 상황에서 미국의 장단기 스프레드는 정체돼 있는데 한국의 장단기 스프레드만 확대돼 있다.

이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가 추진하는 상법개정, 배당분리관세, 자기주식 소각 의무화 등 정책 모멘텀이 내년 6월 지방선거 전까지 이어진다면 한국의 잠재성장률을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 이사는 정부의 정책을 기업이 맞춰서 따라가야 한다고도 했다. 그는 “정부가 말하는 정책과 법 개정이 진행되고 기업이 이에 맞춰서 따라가야 한다”며 “이 같은 정책기조가 유지되면서 영구 배당성향이 35% 수준, 실질 성장률이 1.5%를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김 이사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지정학적 리스크보다는 신흥국보다도 낮은 배당성향에 기인한다”며 “배당 성향이 35%로 영구화 되고 정부의 친시장적 정책 기조가 변질하지 않는다면 외국인 수급도 계단식으로 들어올 것”이라고 했다.

상승기 주도 섹터에 대해서는 “현재 주도주 내에서 확산이 될 것”이라며 “지주사 내에서 중소형 지주사로 확산되고, 인공지능(AI), 화장품 업종 등이 주도주로 유지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