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도권에서 주담대를 받았다면 6개월 이내 전입 의무도 부과된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 투자’를 틀어막겠다는 의도다. 2주택 이상 보유자가 수도권에서 추가 주택을 구입할 때는 아예 주담대를 받을 수 없게 했다. 1주택자도 대출을 받아 주택을 구매하려면 기존 주택을 6개월 내 처분해야 한다. 갭 투자를 위한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 대출도 금지시켰다.
수도권·규제 지역 내 생애 최초 주택구입 목적 주담대의 주택 담보 인정 비율(LTV)는 기존 80%에서 70%로 축소하기로 했다. 일반 디딤돌 대출 한도는 현행 2억5000만원에서 2억원으로, ‘생애 최초’는 3억원에서 2억4000만원을 줄이는 등 정책대출 최대 한도도 대상별로 줄인다. 수도권 내 전세 대출 보증 비율은 현행 90%에서 80%로 더 낮아진다. 이번 대출 규제는 대부분 오는 28일부터 즉각 시행된다. 시간적 여유를 주지 않아 규제 전 수요가 쏠리는 현상을 최소화한다는 취지다. 정부는 이런 조치들과 함께 하반기 가계대출 총량 목표를 당초 계획의 50% 수준으로 줄이기로 했다. 당초 올해 증가 폭을 75조원 정도로 예상했는데 하반기에만 10조원 정도가 줄어들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추가 규제 가능성도 열어놨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지역별 대출 동향 등을 철저하게 모니터링해 필요 시 규제 지역 LTV 추가 강화, 전세대출·정책대출 등 DSR 적용 대상 확대, 주담대 위험가중치 조정 등 추가 조치를 즉각 시행해 나가겠다”고 했다. 다만 이번 대책엔 세금 규제, 공급 확대 대책은 빠졌다. 이재명 대통령이 “세금으로 집값을 잡지 않겠다”고 말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정부 관계자는 “수급 불안 심리가 해소될 수 있도록 주택공급 활성화에도 만전을 기할 계획”이라고 했다. 정부는 필요 시 토지거래허가구역을 포함해 규제 지역 추가 지정 등 시장 안정 조치도 배제하지 않겠단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이번 대책으로 단기적으로 집값 상승세는 진정될 것으로 봤으나, 긴급 처방으로 혼란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최근 급등하던 서울 집값 상승에 제동이 걸리면서 5~6월 과열 양상을 보였던 한강 벨트 주거지 내 아파트 거래량도 숨을 고를 전망”이라며 “규제가 28일부터 바로 적용될 예정이라 가계약을 걸어둔 이들은 오늘 내일 본계약을 마쳐야 하는 만큼 혼란스러울 수 있으며, 디딤돌·버팀목 등 서민이 이용하는 실수요 목적의 대출 규제까지 강화해 볼멘소리가 나올 것”이라고 했다.
20~30대 젊은 층의 ‘내집 마련’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규제로 인해 종전의 방식을 이용하지 못하게 된 젊은 층이 기성세대와 비교해 상실감을 느낄 수 있다”면서도 “통상적 경제활동을 희생시키면서까지 빚을 내서 집을 사고, 그 빚을 갚느라 통상적 경제활동을 못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언젠가는 끊어야 한다고 보면 불가피하게 한 번은 할 수밖에 없는 조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