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브라이언 니콜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는 14일(현지시간) 회계연도가 시작하는 오는 10월부터 미국과 캐나다 근무자에게 이같은 규정을 적용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스타벅스로의 회귀’(Back to Starbucks)라는 이름의 니콜 CEO의 비용 절감형 정상화 계획의 일환이다. 스타벅스는 지난해 판매 부진, 불매 운동, 경영진 교체 등으로 침체를 겪고 있으며, 니콜 CEO는 이를 반전시키기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1100명의 본사 직원을 해고했다.
스타벅스는 특히 리더급 이상 관리자들이 원격으로 근무하는 경우, 12개월 이내에 시애틀 또는 토론토로 이주해야 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지난 2월에는 부사장급 이상에게 동일한 요구를 전달한 바 있다.
출근 요구를 따르기 어려운 직원들을 위해서는 퇴사 시 일회성 보상금을 지급하는 ‘자발적 퇴직 프로그램’도 함께 제시했다.
니콜 CEO는 “모든 이들이 이 접근법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한다”면서도 “하지만 사람 간 연결성을 기반으로 한 회사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대규모 조직 재정비를 위한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니콜 CEO는 남부 캘리포니아에 거주하면서 스타벅스 본사가 위치한 시애틀로 전세기를 이용해 출퇴근할 수 있도록 계약상 허용받았다. 다만 그 이후 니콜 CEO는 시애틀에 집을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타벅스 외에도 아마존, JP모건 등 대기업들이 유연근무제 축소에 나서고 있다. 아마존은 올해 초 전면 출근을 시작했지만, 책상과 주차공간 부족으로 혼란을 겪었고, JP모건은 사내 게시판에 출근 정책을 비판하는 댓글이 쏟아지자 댓글 기능을 차단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