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약 24개국에 새 관세 위협을 담은 서한을 보내며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일본과 유럽연합(EU)을 비롯한 일부 국가는 그의 우려를 해결하려 노력했지만, 효과는 미지수다.
사이먼 이버넷 IMD 비즈니스 스쿨 교수는 “이것은 협상이 아니라 받아들이거나 떠나라는 식의 요구”라며 “대부분의 국가는 8월 1일 전까지 협상 타결을 시도하겠지만, 동시에 자국 수출업체를 지원하고 새로운 시장을 찾는 방안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EU는 현재 미국과의 협상을 위해 보복 관세 시행을 일시 보류한 상태다.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8월 초까지는 보복 관세를 유보하겠지만, 추가 대응 조치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EU는 최근 미국산 제품에 대해 기존 10%에서 30%로 인상된 일괄 관세를 예고한 트럼프의 서한을 받은 뒤 긴급 회의를 소집했다. 당초 협상이 진전을 보이고 있다고 판단했던 EU는 자신들이 경고 대상에 포함된 데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EU 집행위는 14일 회원국들에게 720억 유로(약 116조 원)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대한 2차 보복 관세 패키지를 제안할 예정이다. 이는 지난 4월 승인됐으나 유보된 210억 유로 규모의 1차 패키지와는 별개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협상이 결렬될 경우를 대비해 EU는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보복 조치를 신속히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 서비스산업에 대한 과세 등 다양한 조치를 가능케 하는 EU의 ‘강제 방지 조항(anticoercion instrument)’도 언급했다.
다만 폰 데어 라이엔 위원장은 “아직은 협상 중이며 이 조항은 비상 상황을 위한 것”이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그는 이날 인도네시아와의 무역 협정 정치적 합의를 발표하며 “EU는 새로운 시장 개척에도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행정부와 현재까지 무역협정 초안을 체결한 국가는 영국과 베트남에 불과하다. 중국과는 상호 보복 관세 이후 일시적인 ‘휴전’을 맺은 상태다.
국가마다 미국의 관세 압박에 대응한 전략이 달랐지만, 결과는 유사했다. 멕시코와 캐나다는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이라는 기존 무역 체계를 바탕으로 대응했으며, 국경 보안을 강화했다. EU는 비교적 협조적인 태도로 임했고, 브라질은 무역과 무관한 이유로 50% 관세 위협을 받았지만 미국에 무역 흑자를 제공하고 있다.
오로라 매크로 스트래티지스의 드미트리 그로주빈스키 수석 무역 고문은 “미국과의 협상에서 어떤 전략이 효과적인지 조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협상 타결선은 한 사람의 머릿속에만 존재하고, 그 기준도 계속 바뀌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