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IP 행정 전반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하고, 민간 전문가를 특허 심사관으로 채용해 심사의 전문성을 높였으며, AI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위조 상품의 유통 방지 체계를 구축한 특허청의 최근 성과를 소개했다.
이어 “2004년 설치된 한국 신탁기금을 활용해 개도국의 청년, 여성 및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 역량 강화를 적극 지원했다”며 “향후 글로벌 지식재산 격차 해소를 위해 WIPO와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김 청장은 7일(현지시각), 다렌 탕 WIPO 사무총장이 주재한 ‘미래의 혁신’ 관련 고위급 정책 대화에 참석해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른 지식재산 전략의 혁신적 전환을 언급했다.
이어 김 청장은 7~8일 미국특허상표청(이하 USPTO), 유럽연합지식재산청(이하 EUIPO), 일본특허청(JPO) 청장들과 고위급 양자 회담을 가졌다.
코크 스튜어트 USPTO 청장 직무대리와는 글로벌 양도 과제, 영업비밀 보호, 위조상품 방지 등에 있어 WIPO의 역할 강화가 필요하다는데 공감대를 형성하며 WIPO의 향후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카사이 야스유키 신임 JPO 청장과는 첫만남을 갖고 향후 긴밀한 협력관계를 이어가기로 뜻을 같이 했다.
주앙 네그랑 EUIPO 청장과는 주요국이 함께 참여하는 위조상품 유통 방지 기술 컨퍼런스 등 지식재산 보호 국제공조를 위한 다양한 협력 사항들을 협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