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날까지만 해도 대통령 측은 출석을 검토했다. 이에 선고기일에 대통령 탄핵선고 최초로 대통령이 법정에 모습을 나타내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었다. 윤 대통령이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과는 달리 적극적으로 대중 앞에 나서는 행보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는 구속 중에도 11차례 탄핵 심판 변론기일 중 8번 나왔으며 최후진술도 직접 나섰다. 또 이후 형사재판과 구속 취소 심문에도 출석을 택한 바 있다. 다만 선고기일마저 대통령이 출석한다면, 극도로 흥분한 극렬 지지자들에 의한 ‘제2의 서부지법’ 사태가 벌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기도 했다.
헌재는 4일 오전 11시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대한 선고를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2월 25일 변론 종결 후 38일 만이다. 이는 역대 대통령 탄핵심판 중 최장 평의 기록이다. 앞서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의 경우 변론 종결 후 선고까지 각각 14일, 11일이 걸렸다.
헌법재판소장이 시간과 함께 주문을 낭독하면 선고 결과의 효력이 그 즉시 발생한다. 헌재가 탄핵소추를 인용하면 윤 대통령은 파면된다. 기각·각하할 경우 즉시 직무에 복귀한다. 파면 결정에는 현직 재판관 8인 중 6인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선고 기일 당일에는 방송사 생중계와 일반인 방청이 허용된다. 앞서 노·박 전 대통령 탄핵 사건 때도 헌재는 생중계를 허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