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전재수 해수장관 후보자 "북극항로 조성 박차…첫 단추 '부산 이전'"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권효중 기자I 2025.07.14 10:38:11

국회 농해수위, 14일 전재수 후보자 인사청문회
"'북극 항로' 수도권 일극화 극복, 성장 엔진 될 것"
"부산 이전 마중물, 주요 해운 기업 등도 유치"
"지속가능 수산업, 연안어촌 활성화 추진"

[세종=이데일리 권효중 기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 “북극항로를 통해 새로운 성장 엔진을 장착하고, 그 첫 단추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차질 없이 완수하고 관련 기관·주요 해운기업도 유치하겠다”고 말했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25일 서울 마포구 포스트타워 마포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이데일리 이영훈 기자)
이날 전 후보자는 오전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이같이 밝혔다.

전 후보자는 “현재 해양수산 분야를 둘러싼 대내외 환경은 녹록지 않다. 해양수산 분야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먼저 전 후보자는 “북극항로 시대에 대비한 거점을 신속히 조성해 나갈 것”이라며 “현재의 수도권 일극화 체제를 극복하고, 행정과 산업, 사법, 금융기능을 집적화시켜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 엔진을 장착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부산 이전’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밝혔다. 전 후보자는 “그 첫 단추로 해수부의 부산 이전을 차질없이 완수하고, 이를 마중물로 삼아 해양수산 관련 기관을 비롯하여 주요 해운기업까지 유치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오는 2028년 열릴 UN 해양총회 유치도 공언했다. 전 후보자는 “UN 해양총회를 우리나라에서 유치, 북극항로를 선도하는 의지를 널리 알리고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겠다”고 했다.

기후변화 등 장기적 변화에 따른 ‘지속 가능한 수산업으로의 혁신’도 강조했다. 전 후보자는 “연근해어업은 총허용 어획량 관리체계로 전환하고, 양식업은 스마트 혁신으로 생산성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민들에게 신선한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수산물 수급 관리도 집중하겠다”고 덧붙였다.

해운·항만 경쟁력 강화와 ‘K-해양강국’ 건설도 목표로 들었다. 전 후보자는 “글로벌 환경규제의 위기를 기회로 삼아 친환경 선박 중심으로 국적 선대를 개편해 나가겠다”며 “부산항은 진해 신항 개발로 거점항만의 지위를 공고화하고, 권역별 맞춤형 발전 전략도 차질없이 조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또 어촌과 연안 발전 계획도 제시했다. 전 후보자는 “거점 연안지역에 복합 해양레저 관광도시를 개설하고, 작은 어촌과 연안에는 해양 치유, 어촌 체험, 생태관광과 낚시 등 특성에 맞는 인프라를 갖추어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하겠다”고 했다.

해상풍력에 대해서는 “환경성과 수용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상생할 수 있는 이익공유 모델도 적극적으로 개발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독도, 영해 기점 도서, 무인도 등 해양영토 관리를 굳건히 하고, 해양 안전 관리도 빈틈이 없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해양 환경을 위해 2030년까지 우리 해역의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겠다는 목표도 강조했다. 전 후보자는 “해양쓰레기와 폐어구를 전주기 관리해 깨끗한 바다를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전 후보자는 “장관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농해수위)위원장님과 위원님들의 고견과 조언을 깊이 새기며, 성과 창출에 매진하겠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진심으로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