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관세 유예했지만…식품업계 "美수입처, 납품가 인하 요구"

오희나 기자I 2025.04.16 11:48:41

트럼프 상호관세 90일 유예…“TF가동 상황 예의주시”
“수입업체, 관세 같이 부담하자…단가 인하 요구 이어져”
"농식품 분야, 물가와 직결…개별 협상 이어질 것"

[이데일리 오희나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발 상호 관세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식품업계에도 긴장감이 맴돌고 있다. 미국 상호관세 불확실성,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 대통령 부재라는 요인이 복합적으로 전개되고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정부 협상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는 조언이다.

대형마트에 불닭볶음면을 진열돼 있다. (사진=뉴시스)
16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불닭볶음면’으로 K푸드 열풍을 주도하고 있는 삼양식품은 미국 상호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삼양식품은 지난해 매출 1조 7280억원를 기록했는데 이 중 28%가 미국 시장에서 나왔다. 삼양식품은 전 제품을 국내에서 생산해 수출하기 때문에 관세 영향을 직접 받는 구조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미국 정책이 급변하고 있어 개별 기업 측면에서 대응하는게 쉽지 않다”며 “일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상호관계가 유예됐지만 현지 수입 업체들이 관세 선제적 대응을 위해 수출 단가 인하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는 수입업체가 부담하는 구조여서 늘어난 세부담 만큼 현지 제품 가격을 올려야 하지만 소비 위축을 고려해 이들이 수출 업체에 제품 단가 인하를 요구하는 것.

업계 관계자는 “일부 수입업체에서 제품단가 10% 인하를 요구하고 있다”며 “앞으로 관세부담에 대해 국내 식품기업-수입업체-현지 유통사 간 협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제품 단가 인하는 국내 기업들의 수익성 악화로, 현지 제품가 인상은 K푸드 수요 감소로 이어질 수 있어 이러나 저러나 어려운 상황이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전문가들은 K푸드 열풍 속에서 정부의 협상력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협상력에 따라 얼마든지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

김한호 서울대 농경제사회학부 교수는 “농식품은 서민물가와 직결되는 분야기 때문에 미국 내에서도 반발이 크다”면서 “농식품은 물가 관리 차원에서 추후 별도로 (정부간)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또 “한국 입장에서 보면 보편관세가 경쟁국인 일본, 중국 등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불리해진 것은 아니다”며 “K푸드에 대한 인식이 워낙 좋기 때문에 관세가 낮은 곳으로 공급망을 이동시키는 시기를 잘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 농식품 대미 수출액은 전년 대비 21.2% 증가한 15억 9300만달러를 기록했다. 한국 농식품 전체 수출액이 99억 8000만달러로 역대 최대를 기록했는데 미국이 이 중 16%가량을 차지했다. 특히 지난해 수출품목 1위인 라면 수출액은 12억 4800만달러로 전년대비 30% 이상 늘었는데, 이중 미국 수출액은 2억 1561만달러로 전년대비 70% 가까이 급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