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의 대표적인 ‘조사통’ 출신인 임광현 청장 체제가 출범한 후에도 비정기세무조사 강화 기조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
세무조사 건수는 예년과 크게 다르지 않음에도 부과세액은 급증했다. 국세청은 △2020년 2881건, 2조 8335억원 △2021년 3123건, 2조 8038억원 △2022년 2857건, 2조 6620억원 △2023년 2928건, 2조 5880억원을 각각 부과했다. 2024년의 경우, 전년과 비교하면 세무조사 건수는 5.7% 늘은 데 비해 부과세액은 30.1% 급증한 셈이다.
비정기세무조사 실적이 껑충 뛴 데엔 서울지방국세청이 큰몫을 했다. 서울청의 부과세액은 2조원을 돌파, 전년보다 50%가량 늘었다. 세무조사 건수는 2023년, 2024년 모두 1000건을 밑돌며 유사했지만 상대적으로 규모 큰 법인사업자에 대한 조사에 집중한 모양새다. 서울청은 지난해 법인사업자 비정기세무조사 597건에 1조 8515억원을, 개인사업자 398건에 2515억원을 각각 부과했다. 전년 실적은 법인 559건에 1조 2984억원, 개인 433건에 1238억원이다.
국세청 관계자는 “탈세 규모가 큰 걸로 의심되는 기업과 개인을 선정하면서 부과세액이 늘은 것”이라면서 “2016~2019년 부과세액이 3조원, 많게는 4조원대를 보이다 줄어들었던 규모가 ‘정상화’됐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다만 재계 관계자는 “세수펑크가 계속됐으니 세무조사 강도를 높인 걸로 볼 수밖에 없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2025년 비정기조사 실적은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작년 7월 강민수 국세청장이 취임하면서 “조사 한 건을 하더라도 제대로 하라”는 특명을 내린 데 이어 ‘재계 저승자사’로 불리는 서울청 조사4국장에 ‘조사통’ 김진우 국장을 파격 발탁해서다. 세무업계 관계자는 “비정기세무조사, 과세적부심까지 통상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면 2024년치 비정기조사 실적엔 ‘강민수·김진우’ 효과가 일부만 반영돼 있다”며 “2025년 상반기 실적도 눈에 띄게 늘 수 있다”고 했다.
조사국장만 6번 지낸 임광현 청장 후보자의 취임 후에도 고강도 비정기 세무조사가 지속되리란 전망이 나온다. 임 후보자는 오는 15일 국회 인사청문회 후 곧바로 취임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임 후보자는 국회 사전 서면답변서에서 “성실신고 유도와 공평과세를 위해 세법상 요건과 절차에 따라 공정하고 투명하게 집행하고,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 기술 활용방안을 검토하는 등 세무조사를 공정하게 운영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