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검은 현재 순직 해병 사건 관련 수사외압 및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구명로비 등 복잡한 의혹에 휩싸이게 된 배후에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개입 여부 확인을 위해 당시 지휘선상에 있던 관련자들을 소환해 조사 중이다.
특검법에는 윤 전 대통령 및 대통령실, 외교부, 법무부 등에서의 은폐, 무마, 회유 등 직무유기 및 직권남용·범인도피 혐의 등 연관된 불법행위도 수사 대상으로 적시돼 있다.
특검은 조 장관 소환 조사를 통해 이 전 장관이 주호주대사 임명 경위를 파악할 예정이다. 구체적 소환 일정은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특검은 공수처로부터 조 장관을 포함해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등에 대한 고발 사건을 지난 4일자로 이첩받았다. 세 사람은 채 해병 순직사건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였던 이 전 장관이 호주 대사로 임명되는 과정과 이후 공수처의 출국금지 조치가 해제돼 호주로 출국하는 과정에 개입한 의혹으로 시민단체로부터 고발됐다.
이 전 장관은 지난 2023년 7월 19일 실종자 수색 중 순직한 고(故) 채수근 상병 순직 당시 국방부 장관으로 근무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과의 통화 직후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재를 번복해 ‘VIP 격노설’과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수사 대상으로 올라 있다.
이 전 장관은 경찰에 이첩된 해병대 수사단의 사건 기록 회수를 지시한 혐의(직권남용) 등으로 2023년 9월 공수처에 고발됐다. 공수처는 지난해 1월 이 전 장관을 피의자로 입건하고 출국을 금지했다.
하지만 두달 뒤인 같은 해 3월 4일 외교부는 이 전 장관이 주호주대사 임명됐다고 밝히면서 논란이 됐다. 이후 이 전 장관은 출국금지 조치가 해제됐고 호주대사로 부임했다. 수사 외압 핵심 피의자가 해외로 도피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자 이 전 장관은 임명된 지 25일 만에 사의를 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