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트럼프 “의약품 관세 내달 1일 부과 가능성…반도체도 곧”(상보)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
김윤지 기자I 2025.07.16 08:57:58

트럼프 “의약품 점진적 고율 관세”
“5~6개국과 실질적인 논의를 진행중”
“韓, 日과 달리 시장 개방 의지 보여”

[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빠르면 이달 말부터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15일(현지시간) 말했다. 그는 반도체에 대한 관세도 곧 뒤따를 수 있다고 부연했다.

15일(현지시간)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 도착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 트럼프 대통령은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카네기 멜론 대학교 캠퍼스에서 열린 제1회 펜실베니아 에너지 및 혁신 서밋에 참석한 후 이곳으로 돌아왔다.(사진=AFP)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합동기지에서 기자들에게 “(의약품 관세는)아마 이달 말부터 시작해 처음에는 낮은 관세로 시작해 제약회사들이 1년 정도 제조 기반을 마련할 시간을 주고 이후에는 매우 높은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카네기 멜론 대학교에서 열린 제1회 펜실베니아 에너지·혁신 서밋에 참석한 후 에어포스원(대통령 전용기)를 타고 이곳으로 돌아왔다.

그는 반도체 관세 시행 일정도 이와 “비슷하다”며 반도체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 “그리 복잡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구체적인 설명은 하지 않았다.

그는 지난 8일 백악관에서 열린 내각회의에서 구리에 대해 50% 품목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의약품과 반도체도 거론했다. 당시 그는 “의약품의 경우 200% 정도의 매우 높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제약업체들이 미국 내 생산시설을 갖출 수 있도록)우리는 1년에서 1년 반 정도의 시간을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다.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하게 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미국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초 철강·알루미늄·자동차·자동차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232조를 동원했다. 오는 8월1일부터 부과되는 구리에 대한 관세도 마찬가지다.

블룸버그는 “이러한 관세 조치는 일리 릴리, 머크, 화이자 등 해외에서 의약품을 생산하는 제약사들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미국 소비자들의 부담을 높일 위험이 있다”고 짚었다. 반도체에 대한 관세 또한 칩 자체뿐 아니라 삼성전자(005930)와 애플 등의 노트북과 스마트폰 같은 전자 제품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수일 동안 한국 등 무역 상대국에 일방적으로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통보하는 서한을 보냈고, 동시에 협상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입장을 유지했다. 이날 오전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네시아와의 협상을 통해 서한에서 통보한 32%의 관세율을 19%로 낮추는 데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정부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이번 협정의 일환으로 미국산 에너지 150억 달러, 농산물 45억 달러어치, 보잉 항공기 50대를 구매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현재 5~6개국과 실질적인 논의를 진행 중이지만 무조건 협정을 마무리하는 것보다는 관세율을 지정하는 방식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도도 있고, 몇 나라가 더 있지만, 대체로는 (내가 보낸) 서한 내용에 만족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개별 협정 대상이 아닌 소규모 국가들에는 “10%를 약간 넘는” 표준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 등 일부 국가는 자신의 ‘위협’ 이후 무역을 “개방할 의지를 보였다”면서 일본은 그러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한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와 휴전에 합의하지 않을 경우 러시아의 무역 상대국들에도 2차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위협이 미국 소비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를 일축했다. 그는 “그럴 것 같지 않다. 그 문제는 그냥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 AI가 핵심만 딱!
애니메이션 이미지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